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줘 체온을 잘 조절할 수 있지요. 도마뱀의 주둥이는 뾰족하며, 발가락 개수도 네 다리 모두 5개로 동일해요. 도롱뇽과 도마뱀은 아예 다른 분류지만, 공통점도 있어요. 바로, 신체 부위의 일부가 잘려 나가도 다시 생겨나는 재생 능력을 갖추었다는 점이에요. 도마뱀은 천적과 마주치면 꼬리를 잘라 ... ...
- [찰칵! 전시회] 신기한 숫자 식탁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고대 마야 사람들의 요리법으로 만든 음식을 팔지요. 이곳에서는 차림표에 적힌 가격도 모두 마야 숫자로 나타낸답니다. 핫 초콜릿 한 잔의 값은 과연 얼마일까요 ... ...
- [사고력 두뇌 퍼즐] 클래식 스도쿠 /심플루프/신호등 암호/전개도 찾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숫자도 위치도 틀린 것, 노란불은 숫자는 맞으나 위치는 틀린 것, 초록불은 숫자와 위치 모두 맞는 것이에요. [전개도 찾기] 전개도는 입체도형의 모서리를 잘라 펼친 평면도형을 말해요.의 전개도를 만들 수 있는 입체도형을 찾아 보세요 ... ...
- [과학뉴스] 복잡한 로봇 손 ‘한 번에’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있는 고분자 물질 ‘티올렌’이다. 티올렌을 이용하면 단단한 뼈와 유연한 인대 모두 만들 수 있지만, 느리게 굳는 특성이 있어 그간 3D 프린팅에 쉽게 사용하지는 못했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3D 프린팅 한 이후에는 물체 표면의 요철을 긁어내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런데 티올렌처럼 느리게 ... ...
- 아프리카 펭귄에게 ‘점’이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활을 하고, 한 번 짝을 맺은 개체와 평생을 함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핏 보기에 모두 비슷한 수많은 펭귄 중에서 아프리카 펭귄은 어떻게 짝을 찾을 수 있을까. 답은 그들의 배와 가슴에 수박씨처럼 박힌 ‘점’에 있었다. 루이지 바치아돈나 이탈리아 토리노대 생명과학시스템생물학과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로봇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실외 이동로봇을 취재하면서 만난 사람들은 모두 로봇과 사람이 공존하는 미래를 기대했습니다. 이 프로는 “실외 이동로봇의 이름을 개미라고 지은 건 사람과 친숙하게 공존하길 바라기 때문”이라며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뺏는 게 아니라 사람의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에드윈 허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앙투안 라부아지에. 역사 속 위대한 과학자들에게는 모두 사색하고 상상을 펼치는 공간이 있었다. 이들의 개성만점 영감의 공간이 과학관으로 들어왔다. 서울 노원구에 있는 서울시립과학관이 2023년 12월 새롭게 꾸민 ‘과학자의 산책’ 공간이다. 행정안전부의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며칠에서 몇 주에 걸쳐 진행된다. 그 전후의 실험 준비와 데이터 분석, 논문 작성 등을 모두 합치면 연구 기간이 보통 한 해를 넘기고, 때에 따라선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여기서 가장 많은 시간을 쏟는 단계는 ‘실험 준비’다. 실험 제안서 작성, 입자 측정을 위한 검출기 개발 등도 포함된다.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하나는 정육각형 격자의 꼭짓점에 원의 중심을 배치하는 것이다. 정사각형과 정육각형 모두 각 도형을 연달아 이어붙이면 평면을 빈틈없이 메울 수 있으니 그 구조로 원을 배치하고, 버려지는 공간이 얼마나 되는지 따져보자. 즉 원의 지름과 정사각형,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a라고 할 때 원이 ...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다면, 두 동전의 조합으로 만들 수 없는 금액은 1원과 3원뿐이다. 그 외의 금액은 모두 만들 수 있다. 이때 두 동전으로 만들 수 없는 가장 큰 수인 3이 동전 수이고, 이를 찾는 문제가 바로 동전 문제다. 1882년 영국 수학자 제임스 실베스터는 서로소 관계인 두 수가 있을 때 동전 수를 찾는 방법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