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d라이브러리
"
방사능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떨어져 있는데 천왕성이 가장 추운 이유는 뭘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해왕성 내부에서
방사능
붕괴가 일어나 열을 많이 내놓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지만, 대기가 없어서 극한의 추위와 더위 사이를 오르내린다.금성 최저 -45℃지구 최저 -89℃화성 ... ...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보기 어려운 풍경이다.그러나 이들의 자유가 과연 진정한 자유일까. 먹이 부족과
방사능
, 살처분 등 이들에게는 어두운 운명이 기다리고 있다. 축사에 갇힌 채 그대로 버림받은 동물들의 최후는 비참하다.먹이가 없는 소와 돼지는 영문도 모른 채 서로 몸을 기댄 채 죽어갔다.게다가 일본 정부는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태양 표면에서 폭발이 일어나면 오로라나
방사능
및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난다. 에너지가 아주 높은 양성자는 몇십 분 만에 지구 대기에 부딪치기도 한다. 사운딩 로켓은 여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좋은 관측 도구다. 발사 뒤 다시 지구로 떨어지는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방사능
도 문제였지만 내부 상황을 알 수 없었다는 점도 공포스러웠다. 당시 초소형 플래핑 무인기로 좁은 건물이 즐비한 원전 내부를 훤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박쥐, 파리, 잠자리 무인기원격 ... ...
저선량 방사선은 몸에 좋다? 나쁘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효과를 높이고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현상이 있다는 가설이다.가설에 따르면
방사능
세기가 높은 방사선은 생물에게 해롭지만 낮은 방사선은 이롭다. 후쿠시마 사고 당시에는 노심 밖으로 나온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우리나라에서도 약하게 검출됐는데, 일부 학자들이 호메시스 가설을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뿐 아니라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는 적정 수명이 지나면 폐기하고
방사능
의 영향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 관리해야 한다. 사용 후 연료를 포함한 고·저준위 폐기물도 마찬가지다. 이런 점을 모두 따진다면 원자력 발전이 좋은 대안만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당장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이런 고준위폐기물처리장을 20년 안에 짓는 데는 어려움이 많다. 중저준위폐기물에 비해
방사능
이 강해 주민을 설득하는 일도 더욱 어렵다.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보관한다고 해도 수십 년 동안만 시간을 버는 셈이니 그 사이에 해결해야 할 일은 여전히 많다.[중저준위폐기물을 처리할 목적으로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너희가 상상하는 그대로 기본적인 ‘거미의 능력’을 대부분 지니고 있어. 물론
방사능
거미에게 물리면서 생긴 초능력으로 엄청난 힘과 이동 속도를 얻었지만, 뭐니뭐니해도 나에게 ‘거미줄’만큼은 아주 특별한 능력이지.난 주로 거미줄을 이용해 건물 사이를 이동하거나, 쉽게 벽을 탈 수 있어.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않게 우주선이나 우주복을 설계하는 데 활용한다는 얘기다. 물론 내가 있는 화성 표면의
방사능
수치도 조사하겠지. 약 3조 원 가까이 비용을 들여 나를 만들었으니 시쳇말로 ‘뽑아 먹을대로 뽑아먹는’ 거겠지. 나는 정말 그냥 로봇일까, 아니면 걸어다니는 실험실일까. 아무리 봐도 후자에 가깝게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핵융합에너지 정도는 있어야 할거야. 그런데 원자력은 적 로봇의 무기를 맞아 파괴되면
방사능
이 유출되는 피해가 생길수 있어. 과학자들은 핵융합에너지가 태권브이의 동력원이 될 거라고 생각해. 핵융합에 사용되는 중수소와 삼중수소 5g으로 석유 5만 에 해당하는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 수 있거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