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d라이브러리
"
방사능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안전성 에 문제가 있어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사상 두 번째
방사능
사고로 꼽히는 러시아 키시팀 재처리시설 폭발사고(1957년)의 오염구역. 맨 왼쪽 아래 마야크 저장고에서 난 폭발로 남서쪽(그림에서는 오른쪽 위) 방향으로 방사성 물질이 퍼졌다. 오염 지역이 800km2에 ... ...
트라우마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쓰나미,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누출 위험. 최근 일본인들의 상당수는 이런 엄청난 재난, 즉 외상(트라우마)에 고스란히 노출됐다. 사태가 수습된 뒤에도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시달릴 것이다.외상후스트레스장애란 자신이 겪은 사건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어 두려움에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는 ‘2+1’ 형태가 될 예정이다.정부는 이 시설을 이용해 △우라늄을 사용하지 않고
방사능
폐기물도 나오지 않는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위한 핵입자 연구 △신소재 개발 △단백질 연구 △별 안에서 일어나는 핵반응 재현 등 물리학, 생물학, 천문학에 두루 사용할 계획이다. [LHC에서 양성자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행성에 자기장이 없다면 사람이 위험해진다. 두꺼운 대기가 있다면 별에서 나오는
방사능
입자를 어느 정도 걸러 주지만, 예상치 못한 돌연변이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외계행성 지구화의 딜레마인류가 외계행성에 영구히 정착해 살아갈 계획이라면 서로 다른 환경에서 고립돼 살아간다는 것은 큰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항공기 승객들은 상당량의 방사선 피폭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비행고도를 낮춰
방사능
피폭을 줄여야 한다. 지상에 있는 사람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지구의 중간 대기층에 진입한 양성자 같은 고에너지 입자는 기체 분자를 이온화시켜 대기 중의 오존을 파괴하는 화학 물질을 생성한다.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로그함수는 자연·사회 현상을 해석하는 도구로 많이 쓰인다.과학에서 세균의 증식과
방사능
물질의 반감기는 거듭제곱 형태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기 때문에 계산할 때 로그함수가 쓰인다. 또 경제학에서 인구 증가와 같은 현상도 로그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 거듭제곱을 함수로 확장한 지수함수와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단 팩봇EOD는 폭탄을 찾아내 제거한다. 팩봇 해즈맷은 공기를 분석해 화학물질이나
방사능
물질을 조사한다. 스나이퍼 감지 장치를 장착한 팩봇은 총소리를 분석해 저격수의 방향과 고도, 거리를 알아내기도 한다. 포스터-밀러의 탈론도 여러 가지 장비를 바꿔 달면 정찰부터 전투까지 다양한 임무를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에서도 테란이 지닌 힘의 근원은 원자력이다. ‘사이언스 베슬’이 사라지면서 더 이상
방사능
공격인 ‘이레이디에이트(Irradiate)’는 사용할 수 없지만, 유령(Ghost)이 여전히 강력한 무기인 핵폭탄을 가지고 있고, 스타크2에서 새롭게 업그레이드되면서 사이언스 베슬의 EMP(Electro-Magnetic Pulse)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우라늄을 채굴할 수 있는 90~300년간만 계속될 수 있다. 무엇보다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은 자칫하면 다른 어떤 이익으로도 상쇄할 수 없는 비극을 불러올 수 있다. 요즘 주목받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기술을 이용한 석탄 발전은 잠재적인 에너지 총량의 크기가 작다. 제이콥슨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