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이며,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빛,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죠. 파장은 짧을수록 에너지가 커요. 그래서 자외선은 큰 에너지로 사람의 피부를 태우기도 하고 살균 작용도 하지요.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세계보건기구(WHO)는 20 ... ...
- 레드 레벨을 위한 마지막 수업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0점이 되었으니, 레드 레벨로 임명합니다!” 선생님의 말씀이 끝나자, 갑자기 알 수 없는 빛이 내 몸을 감싸기 시작했어. 저주가 풀려 다시 사람으로 돌아온 거야!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마법 수업을 열심히 들어서 마법 세계에 도움을 주는 마법사가 될게요!”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0년 뒤,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노입자가 점점 더 큰 에너지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은 에너지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양자점은 이 점을 이용해 크기를 조절해 가며 다양한 색을 내는 소재다. 따라서 크기가 균일한 양자점을 합성할 수 있다면 그 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펄펄 끓는 비누에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다른 작물을 재배할 때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이용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았다. 빛을 보충해 준 무는 자라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장금이를 칭찬했지만 아쉽게도 별다른 반응은 없었다. 장금이는 AI 중에서도 다소 무뚝뚝한 편이었다. 나는 이제 무 옆에서 기르던 배추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다고 믿는다. 인류의 한계에 도전하는 초고속 현상 연구에서 한국의 기초과학이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필자소개 김경택. KAIST 물리학과에서 ‘아토초 펄스의 생성과 측정’에 대한 연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캐나다 ...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반응이죠. 이렇듯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바꾸는 화학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기존에는 빛이나 열, 압력 등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는 에너지가 너무 작아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데 쓰이기는 불가능할 거라 여겼죠. 연구팀은 소리를 이용해 두 물질이 섞인 ... ...
- [가상인터뷰] 죽어서도 색 바꾸는 호그피쉬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그에 맞춰 피부색을 바꿀 수 있는 거랍니다. 아, 참고로 제 색소 과립은 파장이 짧은 빛인 청색광을 가장 잘 흡수해요. 연구팀은 “주변 상황에 맞춰 현 상태를 계속 조정해야 하는 로봇 팔다리나 자율주행 자동차와 같이, 사물의 감각 피드백 기술이 필요한 곳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이 연구의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예측했습니다. 성능이 뛰어나면서 재활용도 잘 되는 차세대 배터리는 언제쯤 세상의 빛을 볼까요. 답은 2019년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고(故)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교수의 일화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1979년 구디너프 교수가 리튬이온 배터리 특허를 막 냈을 때는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워낙 적고 멀리 있어 그동안 거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소행성은 천체가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에 따라 주 성분을 파악해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C형(탄소질) 소행성, S형(석질) 소행성 그리고 M형 소행성이다. 이중 C형 소행성은 전체 소행성의 약 75%로 가장 많다.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