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주변 행성의 반사광을 이용해 촬영하는 미국 장비예요. 기존 장비보다 빛에 200배나 더 민감해 달 표면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지요.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달의 남극에 가까운 ‘섀클턴 크레이터’라는 곳입니다. 지금까지는 관측할 수 없었던 곳이죠. NASA는 “사진을 보면 화살표 왼쪽에 세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염기 하나하나에 형광 물질을 부착하고 색깔 순서대로 빛을 검사하거나 염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킬 때 나오는 미세한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네 번째, 이렇게 밝혀낸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모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이어 조합한다. 이런 ‘유전체 조립’ 과정을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순식간에 바뀌는 모습이 나옵니다. 마치 순간이동을 하듯이 말이죠. 순간이동을 하려면 빛만큼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건 지금까지 많은 과학자들이 증명했듯 불가능합니다. 이런 순간이동이 가능한 것은 오로지 ‘양자 상태의 정보’뿐입니다. 양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가장 작은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깊은 해저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적막하고 어두운 공간입니다. 하지만 열수구● 주변엔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 숨쉬고 있죠. 두꺼운 얼음층으로 덮여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외계 바다에도 생명체가 숨어 있진 않을까요? 주스, 얼음 위성에서 생명체 가능성 찾는다! ‘골디락스 존’은 생명체가 ... ...
- 레드 레벨을 위한 마지막 수업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0점이 되었으니, 레드 레벨로 임명합니다!” 선생님의 말씀이 끝나자, 갑자기 알 수 없는 빛이 내 몸을 감싸기 시작했어. 저주가 풀려 다시 사람으로 돌아온 거야!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마법 수업을 열심히 들어서 마법 세계에 도움을 주는 마법사가 될게요!”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다고 믿는다. 인류의 한계에 도전하는 초고속 현상 연구에서 한국의 기초과학이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필자소개 김경택. KAIST 물리학과에서 ‘아토초 펄스의 생성과 측정’에 대한 연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캐나다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변들에서 각각 1000배에서 10만 배에 이르는 아주 강한 중력렌즈 현상을 겪은 작은 빛의 허상을 두 개 찾았다. 물론 이들이 독립된 별 하나인지, 별 두셋이 모인 쌍성, 삼중성인지, 성단인지는 결론짓기 어렵다. 제임스 웹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NIRcam만 관측했기 때문이다. 여러 파장에서 더 선명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이며,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빛,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죠. 파장은 짧을수록 에너지가 커요. 그래서 자외선은 큰 에너지로 사람의 피부를 태우기도 하고 살균 작용도 하지요.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세계보건기구(WHO)는 20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0년 뒤,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실험을 하다 용액 속에 들어있던 수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입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빛을 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이 작은 입자들의 정체는 양자점. 오늘날 QLED TV부터 질병의 진단까지 폭넓게 활용되는 나노물질이다. 브루스 교수는 처음 이 모습을 보고 ‘시료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