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생식
개량
부양
사양
돌보기
배양
d라이브러리
"
사육
"(으)로 총 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죽은 집단(D),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집단(C)을 넣어서 만든 모형이에요. 연구팀은 돼지를
사육
하는 9개의 마을이 있는 20km2 영역에서 SEICD 모형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져나가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대책으로는 도로를 통제하고 이동을 금지하는 차단 방역과 가상의 백신을 접종하는 ... ...
[실전!반려동물] 잠만 자는 고슴도치, 깨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맞춰 주세요. 고슴도치는 활동량이 많은 동물이에요. 따라서 너비가 60cm 이상인 넓은
사육
장과 쳇바퀴 같이 활동량을 늘릴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해요. 또 매일 고슴도치 전용 사료를 주되 가끔 밀웜 등 작은 벌레를 주는 것도 성장에 도움이 돼요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바와는 달리, ‘종의 기원’의 처음 시작은 결코 우아하지 않다. 오히려 동물 육종사와
사육
사가 인공 교배를 통해 비둘기와 같이 자신들이 원하는 개체를 어떤 방식으로 얻어내는지에 대한 시시콜콜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다윈이 살던 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에서는 자신만의 비둘기를 교배해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사육
실도 박멸까지는 아니지만, 우리가 옮기는 질병을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우리를
사육
하고 있다. 우리는 병원체가 섞인 피를 빨고 나면 그 병원체를 다른 동물에게 얼마나 많이 옮기는지 확인받아야 한다. 또 내 몸에 어떤 물질을 넣어 병원체를 옮기는지 안 옮기는지도 확인한다고 들었다. 이제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크론포스트 교수는 “가을과 비슷한 온도와 일조량 등을 조성해도 실내에서
사육
한 제왕나비는 이주하려고 하지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416마리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과거 미국과 유럽도 왕모기를
사육
했지만 방제 구역이 워낙 넓어 결국 단시간에 멀리 살포되는 화학적 방제를 선호하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방제 구역이 비교적 좁아 생물학적 방제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볼바키아 ... ...
[실전! 반려동물] 금붕어가 삐딱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돌연변이 종이에요. 이를 신기하게 생각한 사람들이 연못에 데려와 키우며 금붕어
사육
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돼요. 이후 본격적으로 품종개량이 이뤄졌어요. 사람의 취향에 맞춰 색이나 형태를 바꿔나간 결과, 몸 빛깔은 다양해지고 형태는 점점 동그래졌지요.몸 형태의 변화는 몸속 기관들의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등 즐길 거리도 마련돼 있었어요. 또 록밴드 허클베리핀은 이 축제를 위해 ‘동물의
사육
제’라는 노래를 작곡해 처음으로 선보였지요. 축제를 기획한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동축반축을 통해 관람객들이 동물을 직접 이용하지 않아도 동물에 대해 배우고 즐길 수 있단 사실을 깨닫길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남아있는 대변이에요. 틈틈이
사육
장을 청소해 털에 대변이 붙지 않도록 관리해 주세요.
사육
장 없이 실내에서 보호자와 함께 지낸다면 모래와 건초를 깔아 화장실을 따로 만들어 주세요. 모래와 건초를 자주 갈아 주어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요. 이때 대소변의 냄새가 남아있는 모래를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성장 정보가 잘 알려져 있다. 큰검정뺨금파리(Chrysomya pinguis) 등 야생성이 강한 일부 종은
사육
이 불가능하다. 성장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견해도 사후경과 시간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제 유효적산온도(ADD·Accumulated Degree Days)를 활용할 차례다. 유효적산온도는 특정 성장 시점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