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육"(으)로 총 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옛날에는 소가 넓은 땅에서 풀을 뜯어 먹으며 자랐어요. 그런데 소가 농장에서 집단으로 사육되면서 풀이 아닌 인공 사료를 먹게 됐지요. 그러자 소똥구리가 소똥에서 얻을 수 있는 영양분이 줄어들었어요. 게다가 사료에 들어있는 구충제와 항생제, 곳곳에 뿌린 농약, 똥을 묻기 어려운 시멘트 바닥 ... ...
- [가상인터뷰]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새롭게 밝혀냈지. 칼리코의 연구팀은 지난 30년 동안 벌거숭이두더지쥐 3000여 마리의 사육 기록을 조사했어. 우리는 6개월이면 성장하는데, 그때부터 평생동안 1일 사망률이 1만 마리당 1마리 꼴로 거의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지. 원래 모든 포유동물은 나이가 들수록 사망률이 높아져. 사람은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017년 농림축산검역본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28.1%인 593만 가구로, 반려견은 약 662만 마리, 반려묘는 약 232만 마리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꽤 많은 사람들이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셈인데요. 강아지를 키울까 고양이를 키울까 고민하다가 고양이를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저 새의 깃털이야. 붉은색을 띠는 아주 아름다운 깃털을 가지고 있군. 가만 있자…, 붉은색 깃털이라면 혹시…? 아름다운 붉은색 깃털의 주인공, 홍학!홍학의 ‘홍(紅)’은 ‘붉다’는 뜻이에요. 영어로는 ‘플라밍고(flamingo)’ 라고 하는데, 라틴어로 ‘불꽃과 같은 색깔’ ... ...
-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철새 연구가 ‘와타가타 버드’야. 얼마 전 서해안에서 수상한 새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달려왔지. 며칠간의 잠복 수사 끝에 소문의 새를 보게 됐는데…. 그런데 저 새는 우리나라에서는 못 보던 종류네? 대체 정체가 뭘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독특한 부리로 먹이를 먹는 홍학!동물원에서 홍학이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홍학은 부리를 물속에 거꾸로 넣어 먹이를 찾아요. 혀와 턱을 빠르게 움직여서 물을 빨아들이고, 물속의 갑각류와 남조류 등을 걸러 먹는답니다. 홍학이 이렇게 먹이를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이 ... ...
- Part 3. 군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이 구역의 ‘춤꾼’은 나야 나!홍학은 적게는 50마리, 많게는 수천 마리까지 거대한 무리를 이루어서 살아요. 과학자들은 홍학의 서식지가 정해져 있고, 또 무리 속에 함께 있으면 포식자로부터 더 안전하게 새끼를 보호할 수 있어서 무리를 이루어 살게 됐을 거라고 추정해요. 또, 짝짓기를 할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모기를 잡아먹니? 최근 고려대학교 배연재 교수 연구팀이 광릉왕모기를 인공적으로 사육해 번식시키고, 이들이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도록 했어요. 연구팀은 50일 동안 광릉왕모기 암컷 한 마리에서 약 600마리 이상의 광릉왕모기를 얻는 데 성공했지요.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약 26마리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방문한 곳은 양식장처럼 꾸며진 순환여과 사육실이었어요. 양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사육수조 16개에서 7종, 900여 마리의 민물고기들을 기르고 있는 공간이지요. 이곳에서는 전시실에 있던 희귀종뿐만 아니라 비단잉어나 금붕어 등,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민물고기들도 함께 볼 수 있었답니다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곤충사업가요!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곤충을 세상에 알리고 싶어요. 사육 곤충으로 유명한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외에도 정말 예쁘고 멋진 곤충이 많거든요. 무엇보다 미래 식량에 사용하는 곤충을 연구해서 사람들에게 유익한 일도 하고 싶어요. 곤충의 매력은 정말 끝이 없답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