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대방"(으)로 총 8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구분하는 법을 배우지요. 즉, 사람이나 동료 개를 세게 물면 안 된다는 것을 어릴 때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배우는 거예요. 이런 연습 과정이 없으면 무는 힘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서 나중에 피가 날 정도로 물게 돼요. 이때 개의 종류나 어렸을 때의 경험, 사람이나 동료 개들에게서 배운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데 사용했다고 보고 있어요. 다른 공룡의 옆구리를 머리로 강하게 들이받았을 때, 상대방이 통증을 더 크게 느끼게 된다는 거예요. 단단한 머리뼈는 여전히 논쟁 중지난 2013년, 파키케파로사우루스가 머리로 박치기를 했다는 주장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어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의 피터슨 박사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서로 공유하기도 하고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기도 해요. 물 분자를 이루는 산소와 수소도 상대방이 갖고 있는 전자를 자신의 쪽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힘겨루기를 하지요. 이 힘겨루기의 승자는 산소예요. 결국 수소의 전자가 산소 쪽으로 가면서 산소는 음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게 돼요. 반대로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게 중요하다는 데에는 필자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지식을 이해하고, 이런 이해를 토대로 상대방과 생각과 느낌을 나누고, 이런 기반 위에 서로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은 인류가 지금까지 오랫동안 추구해 온 덕목이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처럼 남아 있다. 이 숙제를 해결하지 않은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당시 과학자들은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해 사람의 시선이 상대방을 볼 때 어느 부분부터 보는지 연구했다. 1967년 러시아 생리학자인 알프레드 야부스는 아이트래커(시선 추적) 장비를 이용해 연구한 결과 사람이 얼굴을 볼때 시선이 양쪽 눈과 입을 이어주는 삼각형 부위에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실제로 끝까지 둬보고 이기는 지점에 두는 것이다. 즉 내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해 상대방이 둘 수 있는 모든 지점, 또 그에 대해 내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 등과 같이 끝까지 경우의 수를 다 따져보면 승패를 알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한다. 그 중에서 이긴 지점에 해당하는 경로의 첫 수를 다음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시그널’입니다. ‘당신이 좋아요’라는 신호를 보내지만 영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대방 때문에 마음 졸이는 나의 심정을 표현한 곡이지요. 시간을 통제하고 주위 사물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초능력을 뽐 내기까지 하지만 간절한 신호는 잘 전달되지 않네요. 중요한 정보가 빠졌거나 불필요한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플라스마 렌즈를 생성하면 공격을 막고, 또 반사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대방의 공격을 흡수한 뒤, 이를 역이용해 뿜어내는 굴복의 팔찌처럼 말이다. 진실의 올가미는 고분자전해질로원더우먼의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무기가 진실의 올가미다. 1941년 원더우먼 캐릭터를 처음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자신의 이득을 최대로 늘리기 위해 노력한다고 가정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각 경기자는 상대방의 전략에 대항해 자신의 이득을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전략을 찾습니다. 그 지점이 내시 균형입니다. 즉 게임이론은 자신의 행동뿐 아니라 상대의 행동에 의해 이익이 결정됩니다.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한 사람이 분배 방법을 제시하면 상대방이 방을 고르면 돼. 방법을 제시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너무 좋은 쪽을 고르지 않도록 최대한 공평한 방법을 생각해내겠지. 각자의 역할은 동전를 던져서 무작위로 정하면 돼. 그런데 문제가 있어. 분배 방법을 제시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거든. 돈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