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용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2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서는 첫 순서로 숙주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ACE2
수용
체와 결합해야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투해 ACE2의 생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만약 코로나19에 걸리기 전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걸린다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침투력은 급상승하게 된다. 인플루엔자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빠른 시간에 개체 수가 감소하며 멸종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다.유전체에서는 피부 온도
수용
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흔적도 발견됐다. 이 돌연변이로 빙하기의 추위에도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만4700~1만2700년 전 지구에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뵐링-얼러뢰드 온난기’가 닥치자 이것이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수용
체(단백질)를 인식하는 기능이 핵심”이라며 “종마다 다른
수용
체를 모두 인식하는
수용
체를 하나의 바이러스가 갖고 있기란 확률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헀다. 모든 바이러스는 최소 수년 이상 돌연변이가 축적될 때 변종 또는 신종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늦춘다.높은 기온은 자율신경계에도 따로 인식된다. 가령 피부의 온각
수용
체와 냉각
수용
체는 주변 기온을 감지한다. 이 정보는 뇌에서 체온 정보를 취합하는 시각교차앞-전시상하부(PoAH)라는 곳으로 보내진다. PoAH는 다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여러 뇌 부위와 연결돼 결과적으로 수면에 영향을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포에는 ACE2라는 막관통단백질이 있는데, 이 단백질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수용
체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에볼라 출혈열 유행병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에볼라바이러스는 숙주세포 표면
수용
체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숙주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감염된 세포는 출혈을 일으키며 혈관에서 떨어져 나오고, 심하면 혈액 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에볼라바이러스는 소변, 타액, ...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환을 비롯해 다양한 진화를 겪은 뒤 만들어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세포
수용
체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에 결합해 인체에 침투한다. 연구팀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전파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결합 부위가 박쥐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톨 유사
수용
체(TLR·toll like recepter)’가 있다. 우리 몸은 대식세포에 있는 톨 유사
수용
체를 이용해 항원이 문제를 일으킬 만큼 병원성을 띠는지 판단하고 공격 여부를 명령한다.식세포들이 작용하는 선천 면역반응만으로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더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평생 생성되는 다양한 항체 유전자들은 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T림프구의 항원
수용
체 역시 유전자 재배열로 다양성을 획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도네가와는 수상자로 지목된 직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연구한 주제들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며 “노벨위원회의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빠져나가려고 한다면, 껍질을 감싼 외피 단백질 표면의 당단백질 등이 숙주세포의
수용
체와 결합할 수 있어 숙주세포를 빠져나가기는커녕 되려 빨려 들어갈 수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올 때 단백질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에 다시 붙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