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용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톨 유사
수용
체(TLR·toll like recepter)’가 있다. 우리 몸은 대식세포에 있는 톨 유사
수용
체를 이용해 항원이 문제를 일으킬 만큼 병원성을 띠는지 판단하고 공격 여부를 명령한다.식세포들이 작용하는 선천 면역반응만으로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더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
체를 가져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B림프구는 사멸하거나 무반응 B림프구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다. 이런 반응을 면역관용(immune-tolerence) 시스템이라고 한다. 면역관용 시스템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류머티스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평생 생성되는 다양한 항체 유전자들은 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T림프구의 항원
수용
체 역시 유전자 재배열로 다양성을 획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도네가와는 수상자로 지목된 직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연구한 주제들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며 “노벨위원회의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지키는 병사인 면역세포를 숙주로 삼아 파괴해 독종 바이러스로 취급된다. 특히 CD4를
수용
체로 가진 면역세포인 T림프구를 감염시키거나 파괴한다. 정상인의 혈액에는 도움 T림프구 수가 혈액 1mm3당 최소 500개 이상 존재하는데, 개수가 200개 미만으로 줄어들면 사실상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잃게 ...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환을 비롯해 다양한 진화를 겪은 뒤 만들어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세포
수용
체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에 결합해 인체에 침투한다. 연구팀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전파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결합 부위가 박쥐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빠져나가려고 한다면, 껍질을 감싼 외피 단백질 표면의 당단백질 등이 숙주세포의
수용
체와 결합할 수 있어 숙주세포를 빠져나가기는커녕 되려 빨려 들어갈 수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올 때 단백질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에 다시 붙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
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가 분화한 세포다. 단핵구에 세포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했다는 것이다.다시 바이러스 B와의 전쟁터다.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된 MHCⅠ과 꼭 맞는
수용
체를 가진 T림프구는 이와 결합해 세포를 곧바로 죽이는 능력을 갖춘 세포독성 T림프구(일부는 해당 항원을 기억하는 기억 T림프구가 된다)로 변신한 뒤 분해 효소를 분비해 감염된 세포의 막과 세포질을 ...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난제, 보이니치 필사본 20세기 혁명가로 활동했던 한 남자가 있다. 이 사람은 시베리아
수용
소에 갇혀 있다가 탈출한 뒤 윌프리드 보이니치라는 가명을 쓰며 정체를 숨긴 채 책을 사고파는 서적상으로 지내고 있었다. 그러던 1912년, 보이니치는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오래된 책을 하나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전자및컴퓨터공학과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
수용
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20-2285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