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지손가락
엄지가락
엄지손
d라이브러리
"
엄지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손가락이 쏙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생겼다. 하지만 맨 아래의 스페이스 바는 볼록하다.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기 쉽도록 만든 것이다. 같은 이유로 맨 아래 열의 키 전체를 볼록하게 만든 키보드도 있다.키보드를 옆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키보드도 있다. 이 키보드는 위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때문에 암석이 녹을 정도의 큰 마찰열이 생긴다. 녹은 부분이 떨어져 나갈 때 찰흙을
엄지
손가락으로 누른 것 같은 모양이나, 빗살무늬 같은 흔적을 남긴다. 운석을 깨뜨려보면 마찰열로 타서 검게 된 겉과 밝은 색의 속이 선명하게 구별된다. 운석 중 일부는 독특한 내부 구조를 갖고 있어 얇게 잘라 ... ...
한강 해양 레포츠 체험교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다.이미 지난 여름 한강에서 해양 레포츠를 체험한 청소년들은 체험교실에 대해
엄지
손가락을 치켜든다. 한강 이촌지구의 유덕재 강사는 “평소 접하기 어려운 해양 레포츠를 할 수 있어 참가자들이 즐거워한다”며 “바람의 원리를 이용한 딩기요트를 통해 과학적 사고와 균형 감각을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해양프로그램담당관이 벌떡 일어나 손을 번쩍 들었다. 손에 들린 투명한 비닐봉투에는
엄지
손가락만한 게 한 마리가 꿈틀꿈틀 움직이고 있었다. 모종삽으로 갯벌을 파헤친 지 10분이 채 지나지 않아서였다. 일본 4대 섬 가운데 가장 남쪽에 위치한 규슈. 이곳 서해안에 위치한 인구 13만 명의 도시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분수가 하늘로 끝없이 올라간다면아빠의 콧수염이 끝없이 계속 자란다면네
엄지
발가락이 끝없이 계속 커진다면작품설명 | 정말로 복어의 배가 터지지 않고 계속 부푼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마음대로 상상해 보세요. 끝없이 계속되는 것을 수학에서는 무한이라고 합니다. 무한에 대한 상상,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알고 고를 때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평발이거나 발을 안쪽으로 향하게 걷는 사람은
엄지
발가락에 큰 힘이 걸리므로 신발 뒤축과 가운데 안쪽을 보강한 ‘모션 컨트롤화(움직임조절신발)’ 가 적당하다.발 가운데의 오목한 부분이 큰 사람은 발뒤꿈치에 큰 힘이 걸리므로 쿠션을 보강한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구두는 더욱 심각하다. 신발에 발을 맞추다 보니 발가락이 앞으로 모이고, 결과적으로
엄지
발가락이 새끼발가락 쪽으로 구부러지거나(무지외반증) 나머지 발가락들이 땅을 향해 구부러진다(갈퀴변형). 뼈가 변하지 않더라도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기고 발톱이 살을 파고 자라기도 한다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것인지 논란이 돼 왔다.연구팀은 이 종이 호모 속에 더 가까운 이유로 손가락이 짧고
엄지
손가락이 긴 점, 골반 모양이 유인원과 더 닮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비해 직립보행하는 현생인류에 좀더 가까운 점, 전두엽이 발달한 점 등을 들었다. 특히 두뇌 크기가 현생인류의 3분의 1 수준인 420cm3에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교를 입혀 진짜 발가락과 거의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다.연구팀은 카이로 발가락을
엄지
발가락이 없는 사람들이 착용하고 걸어보게 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서 있을 때, 앞으로 걸을 때,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때 충분히 몸무게를 지탱하고 움직이는 것을 편하게 돕는 것을 발견했다. 또 ‘카이로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서울대에 반도체공동연구소가 설립돼 직접 반도체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어떻게
엄지
손톱보다도 작은 크기의 반도체 소자에 신문지 몇 만매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지 궁금했다. 본격적으로 반도체를 공부할 생각으로 ‘마이크로시스템 및 나노 기술 연구실’의 문을 두드렸다.연구실에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