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지손가락
엄지가락
엄지손
d라이브러리
"
엄지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또 하나는 키넥트가 적외선으로 찍은 ‘뭉개진 손 모양’ 그림에서 사람이 직접
엄지
와 검지를 하나하나 구분해 컴퓨터에게 가르쳐 주는 기계학습방식이다. 사진 수십만 장을 사람이 검토해야 해 시간 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료가 쌓이면 훨씬 정확해진다.임 연구원은 “현재 두 방법을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잃은 각종 새들의 두개골이 일렬로 전시돼 있었다. 주먹보다 큰 독수리의 두개골부터
엄지
손가락 한 마디 길이도 안 되는 작은 물새의 두개골까지. 크기는 달랐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었다. 뻥 뚫린 커다란 안구의 흔적.눈은 클수록 해상도가 좋다. 망막에 맺히는 상이 커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기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애플에서도 지난 3월 파킨슨 병을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앱을 발표했다. 앱을 실행해
엄지
와 검지로 20초간 화면을 번갈아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 그 패턴을 분석해 파킨슨병 발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화석 안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속의 특징이 뒤섞여 있었다. 예를 들어 손의 경우,
엄지
가 길고 손가락이 짧았다. 물건을 잡기 좋은 호모 속의 특징이다. 하지만 강력한 근육이 붙었던 흔적은 이 종이 걷기 외에 나무 타기에도 능했다는 뜻으로, 원시적인 특징이었다. 두뇌의 경우도 구조는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지나치게 성적인 것에 관심이 많다.아래는 남자만 체크□ 만 9세 전에 고환이 4㎖(아빠
엄지
한 마디 크기)로 자란다.□ 만 10세 전에 생식기관에 털이 난다.아래는 여자만 체크□ 만 8세 이전에 가슴에 몽우리가 생기고 아프다. □ 만 10세 이전인데 생리를 시작한다.※ 증상이 하나라도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일어나는 현상이다. 하전 입자는 자기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이쯤 되면 왼손을 들고
엄지
와 검지, 중지를 직각으로 펼쳐 -플레밍의 왼속 법칙- 방향을 살피기 시작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원형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유도 전류를 만드는 것처럼 지구 자기장과 만난 하전 입자는 ... ...
앵두 VS 버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공서진(홈스쿨링)앵두장미과에 속하는 ‘앵두나무’에 열리는 열매예요. 어린이
엄지
손톱만 한 크기에 동그랗지요. 4월에는 작고 하얀 꽃이 가지를 따라 촘촘하게 피어요. 꽃이 지고 나면 그 자리에 동그란 열매가 다닥다닥 붙어 열리지요. 5~6월이 되면 새빨갛게 익으며 새콤달콤한 맛이 난답니다.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만드는 방법 때문이야. 자, 연필을 한번 잡아봐. 가운데 손가락으로 연필을 받치고
엄지
와 검지로 연필을 쥐게 되지? 이렇게 세 손가락은 삼각형을 이뤄. 만약 연필을 삼각형으로 만들면 연필의 몸통과 손가락이 가장 많이 닿아 가장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을 거야. 하지만 연필을 삼각형으로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일품이었다. 러시아 대표 표트르가 우리가 가져온 우주 고추장을 빵에 찍어 맛보더니
엄지
손가락을 치켜 올렸다. 맵지도 짜지도 않고 딱 좋다는 말과 함께였다. 똑같은 고추장을 지구에서 맛본다면 꽤 짤 텐데…. 우주에 가면 중력이 약해 혈액 등 체액이 머리로 쏠리기 때문에 식품의 맛과 향을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재고 있었다. 쥐 한 마리가 조그만 실험장치 위에 올려져 있었다. 그 앞에 앉은 연구자는
엄지
손가락만한 면봉을 들고 조심스럽게 쥐를 통제했다. 옆에 놓인 컴퓨터 화면에는 쥐의 심장박동이 실시간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쥐가 앉아있는 회색 판이 바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심전도(EGC)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