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엄지"(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할 것. 그는 “달리기 전 아킬레스건과 발 아치를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엄지발가락을 많이 움직이는 동작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맨발로 생활하는 사람 35명과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사람 46명을 대상으로 발 뒷꿈치와 엄지 발가락 아래 쪽 굳은살의 두께와 경도(딱딱한 정도), 그리고 빠른 적응 수용체(FA1, FA2)의 민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맨발로 생활하는 그룹이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그룹보다 굳은살이 약 30% 두껍고, 경도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 경위는 기자의 손바닥에 스티커 형태의 센서 2개를 붙였고, 또 다른 센서 1개는 엄지손가락에 감았다. 흉부와 복부에는 고무 튜브가 하나씩 둘러졌고, 왼쪽 팔뚝에는 혈압 측정기도 달렸다. 이 경위는 “거짓말 탐지의 가장 기본적인 측정 도구들”이라며 “손에 붙인 센서는 땀 발생량과 ... ...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바로 앞에 있지. 바로 네 손목에! 손바닥이 하늘로 향하도록 손을 들어보세요. 그리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붙이면, 손목 중간에 길쭉하게 올라오는 근육이 보이나요? 이 근육은 긴손바닥근(장장근)이에요. 근육이 보이지 않아도 걱정하지 마세요! 10~15%의 사람은 이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거든요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굳은’ 진흙 위를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겼다. 발자국의 크기는 불과 1cm밖에 되지 않았다. 엄지손톱 크기 정도다. 대부분의 육식 공룡은 두 발로 걷고, 뒷발에 있는 발가락 4개 중 3개를 땅에 디디며 걷는다(첫번째 발가락은 위치가 높고 뒤꿈치쪽에 있어 땅에 닿지 않는다). 그런데 이 공룡은 두 번째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수 있는데,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거대한 크기와 다채로운 무늬가 무척 신비로웠다. 엄지손가락만 한 벌과 개미, 손바닥만 한 메뚜기와 바퀴벌레, 그리고 어린이의 얼굴 크기만 한 거대거미 타란튤라와 전갈부치는 내 눈을 의심케 했다. 또한 형형색색의 나비들과 어릿광대를 연상시키는 거미와 ... ...
- [과학뉴스] 아픔 느끼는 로봇 손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알아본 거예요. 예를 들어 팔죽지 앞쪽 말초신경을 자극하면 실험자는 존재하지 않는 엄지와 검지에 통증이 있다고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이어서 연구진은 전자 피부를 만들어 로봇 손에 씌웠어요. 그리고 전자 피부 센서의 정보가 환상 손 지도에 대응하는 신경에 전달되도록 했지요. 그 결과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뿐 암흑물질의 실체가 직접 확인된 적은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박 책임기술원은 엄지손톱을 들어 보이며 “지금도 중성미자는 1cm2의 손톱만 한 면적에 초당 1000억 개가 지나간다”며 “이를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중성미자가 자연계를 구성하는 입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문 센서 등이 장착돼 있는데, 이를 다른 위치로 옮기거나 줄이는 것이다. 특히 최소 엄지손톱 크기의 면적을 필요로 하는 지문 센서가 관건이다. 많은 제조사들이 지문 센서를 스마트폰 뒷면으로 옮기거나, 홍채 인식이나 얼굴 인식을 이용해 지문 인식 시스템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일치한다. 신체를 기준으로 한 길이의 단위는 이후에도 다양하게 발명됐다. 서양에서는 엄지손가락 폭에서 착안한 인치(2.54 cm), 팔 길이에서 유래한 야드(91.44 cm), 어른의 발 길이를 의미하는 푸트(30.48 cm) 등을 사용했고, 동양에서는 한 뼘에 해당하는 척(尺), 손가락 한 마디를 나타내는 촌(寸) 등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