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뇌 조절하면 실컷 먹어도 다이어트 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해. 이렇게 변화된 별세포의 상태를 ‘반응성 별세포’라고 한단다.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반응성 별세포가 비만 치료의 핵심이 될 거라는 논문을 발표했어. Q. 반응성 별세포가 어떻게 비만과 관련 있어?뇌의 측시상하부는 배고픈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 ...
- 찬드라얀 3호, 무엇을 찾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0℃였던데 비해 불과 8cm 깊이에선 영하 10℃까지 떨어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이진 부장은 “그간 궤도에서 얻은 데이터로 예측하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며 “예측 데이터와 직접 얻은 데이터의 차이를 확인한 건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온도 ... ...
- [기획] 꿈★은 이루어질까?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올여름,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 ‘LK-99’를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했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들썩였어. 정말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면 노벨 물리학상은 따 놓은 당상인 데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비롯해 일상이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지.상온 초전도체는 아직 검증 중이지만, 안타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200℃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냉각 장치를 운영하는 데 꽤 큰 비용이 들거든요.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찬중 박사는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지금처럼 초저온 냉각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초전도체가 일상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강력한 자기장으로 에너지 절약한다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행성을 내 손으로? 태양계 행성 액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마르면서 보통 T 모양으로 갈라져요. 하지만 이 진흙 퇴적물은 육각형 모양이었죠. 라핀 연구원은 “T자 모양의 진흙이 수십억 년 동안 주기적으로 물에 노출되면서 T에서 Y자 모양을 거쳐 육각형 모양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발견은 화성에 규칙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연구팀이 이석배 연구원팀의 논문에 나온 제조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연구팀도 LK-99가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했어요. 검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 ...
- [특집] 우리 동네가 가라앉는다면 해수면 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7월 24일, 전라남도 목포가 물에 잠겼어요. 건물에도, 주유소에도 물이 차올라 시민들은바지를 걷어붙이고 물살을 가르며 다녀야 했습니다. 그런데 목포의 침수 피해, 비가 많이 와서 그런 것만은 아니었어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었지요. 바로, ‘해수면 상승’입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 ... ...
- [가상 인터뷰] 해열제, 얼리면 독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가진 장소라면 어디서나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극지연구소 김기태 책임연구원은 “최근 의약품 성분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남극이나 북극까지 오고 있다”며 “이들이 동결 농축 효과로 인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극지 생물에게 미칠 ... ...
- [기획] 로봇, 지휘자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수 없다면 사람 지휘자를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지요. 공연 소감을 묻자 이 연구원은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무대 뒤에서 공연 내내 대기했다”며, “문제 없이 공연을 마친 것만 해도 기뻤고, 관객들이 환호해 주셔서 기분이 좋았다”고 전했어요. 최 감독은 “로봇과 함께하는 ... ...
- [섭섭박사 메이커] 3D 프린터가 내 손안에? 3D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온도가 높으니 사용할 땐 반드시 보호자의 지도를 따르세요. 지난 4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은 마요네즈처럼 부드러우면서도 형태를 잘 유지하는 3D 프린터용 전도체* 잉크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실제로 연구팀은 새 잉크의 해답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