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살아 시력이 퇴화한 나머지 눈이 아예 없다는 것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유정선 연구원은 “진동굴성 거미는 보통 거미와 달리 눈이 6개로 적은 편이지만, 눈이 아예 없는 거미를 국내에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한국구슬거미가 동굴 안에서 거미줄을 칠 곳을 어떻게 찾는지는 더 많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깃대종/삼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크게 늘어 올해 기준 지리산 일대에는 86마리가 살고 있답니다. 국립공원공단 김선두 연구원은 “깃대종으로 지정하면 사람들에게 해당 종의 복원 가치를 알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깃대종은 한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종이지만, 깃대종이 사라진다고 해서 생태계가 파괴되지는 ... ...
- [만화뉴스]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 알고보니 지구가 고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월 11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제롬 가타체카 박사팀은 2018년 모로코의 사하라사막에서 발견된 운석 ‘NWA 13188’을 분석한 결과 이 운석이 지구에서 우주로 갔다가 되돌아온 운석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운석 속 산소의 동위원소● 비율이 지구의 화산암과 동일하다고 ... ...
- [기획] 로봇이 지휘하고 AI가 작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딴~♪, 따단. 딴~♬” 지금 나오는 이 음악 어때? 어과동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여름에 어울리는 빠른 리듬의 신나는 음악을 직접 만들어 봤어. 이렇게 누구나 듣고 싶은 음악을 만들고, 로봇이 연주하고, 심지어 지휘까지 하는 새로운 음악의 시대가 열릴 거야. 칼같이 박자를 타는 파워풀한 로 ... ...
- [기획] 칼박자 천재드러머, 드럼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평소 음악을 좋아해 로봇공학과 음악을 접목했다는 임 연구원은 “드럼 로봇은 그 자체로 공학적인 연구 주제지만, 로봇의 연주를 본 사람들이 재미와 기쁨을 느끼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다”고 전했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미운 오리도 사랑받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벽화에서도 연구팀은 이와 같은 특징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필립 마르티네즈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계기로 고대 이집트 벽화 속 비밀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에필로그“흐음당신은 오리가 아니었네요. 이상하게 생긴 게 아니라 아예 다른 종인 거였어요.”꿀록 ... ...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 아마존강 vs 나일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크앙! 나는 세계에서 가장 긴 아마존강에 사는 악어야. 그런데 최근 불편한 소문이 들려오더라고?아니, 옆 대륙 아프리카에 사는 악어 친구가 나일강이 세계에서 제일 길다며 으스대지 뭐야.알아보니,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을 찾기 위해 직접 카약을 타고 강의 길이를 잰다더라고!과연, ...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 얼음에서 바다로’를 준비하고 있죠. 우리는 생태학자, 공학자 등 13명의 국제 연구원으로 구성된 탐험대로, 아마존강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페루 안데스 산맥의 깊은 골짜기에서 대서양까지 7개월간 원정을 떠날 예정이에요. 탐험을 통해 아마존강에 어떤 생물들이 사는지 생물다양성도 ... ...
- [이달의 과학사] 1992년 8월 11일,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인공위성입니다. 1989년 8월 설립된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현 인공위성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영국 서리대학교에 파견됐어요. 그곳에서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웠고, 기술협력을 통해 우리별 1호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지요. 그리고 마침내 1992년 8월 11일, 우리별 1호는 ... ...
- [현장취재②] 우동수비대 4기, 미어캣 정형행동 관찰 현장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있는 동물이 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의미없이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일이에요. 김 연구원은 “함께 기록에 참여해 보니 미어캣과 관찰자 사이에 거리를 넉넉히 두고, 기록을 시작하기 전 10~15분 정도 동물이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어요. 이어 “쉽지 않았을 텐데, 대원들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