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용"(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를 자랑한다. 최근 5년 IF는 4.152로 높은 편에 속한다.주로 아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실린다. 아동학대에 대한 유명한 연구결과도 다수 실렸다. 학대를 받은 아이들이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신뢰할 수 없게 되고 해당 연구에 투입된 인력과 시간, 자원이 무의미해진다. 그 연구를 인용한 다른 연구들의 신뢰성도 위협받고, 궁극적으로는 과학 자체에 대한 불신이 높아질 수 있다. 잘못된 자료 분석이 ‘사고’낸다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다양하다. 최근 주로 지적되는 것은 잘못된 자료 분석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통의 강호 학술지기 때문이다.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시도한 곳이 피지컬 리뷰 레터스의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곤충의 일생이 지향하는……목적과 목표에 비로소 다다랐다. (해밀턴, 1996년, 22쪽에서 재인용).집단 선택설이 활개를 치는 케임브리지 생물학과의 분위기에 크게 낙담한 이 학생은 혼자 도서관에 틀어박혀서 진화이론을 독학하게 된다.집단 선택설의 ‛끝판왕’이 등장하다생물학적 적응을 설명할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9명으로,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된 분야는 약리학및독성학 분야다. 이은성(가톨릭대)·박광식(동덕여대)·박태관(KAIST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 있어요. 세그웨이는 탑승자의 자세를 감지해서 앞뒤 좌우로 균형을 맞추며 움직이는 1인용 탈것이에요.사실 세그웨이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에 개발됐어요. 2001년 12월, 미국의 발명가 딘 카멘이 ‘T’자 모양으로 생긴 세그웨이를 만들어 세상에 공개했지요. 당시 세그웨이를 처음 본 사람들은 ... ...
- [News & Issue]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과학동아 l2016년 02호
- ACS)가 발행하는 50여 개의 학술지 중 하나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피인용지수(IF)가 2014년 기준 5.330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환경 과학과 기술’은 환경보건학 이슈 중에서도 우리 삶과 밀접한 주제를 다룬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집에 두는 어항에서 바다 적조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원’에서 불임성 일꾼을 가리키며 “특별한 어려움”이라고 언급한 대목은, 빈번히 인용되면서 학계에 널리 알려졌다. 몇몇 진화생물학자들은 이것이, 불임성 일꾼 같은 이타성의 진화가 진화생물학의 핵심 논제임을 다윈도 일찍이 알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종의 ... ...
- [News & Issue]천체물리학저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각각 20년씩 편집장을 맡은 121년 역사의 유서 깊은 학술지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5.993으로 ‘매우 높은 편’. 자매지인 ‘천체물리학저널 증보(ApJS)’, ‘천체물리학저널레터(ApJL)’ 역시 천체물리학 분야 최상위급 학술지로 꼽힌다.그.런.데. 지난해 송유근 군의 논문 표절 사건으로 ... ...
- 물대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테레사 메이는 영국의 ‘비살상무기 의학과학자문위원회(Sacmill)’의 정책보고서를 인용해 살수차 도입 정책의 67가지 문제점을 발표했는데, 그 중 첫 번째가 바로 부상 위험입니다. 특히 눈과 코, 귀 등 구멍이 뚫린 부위가 취약한데요. 골절은 물론이고 귀에 직사로 맞았을 때는 전정기관에 이상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