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증
초록
발췌
흉내
모방
시늉
d라이브러리
"
인용
"(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최근 이 논문을
인용
해 ‘빅뱅을 잊어라(Forget the Big Bang)’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면서 화제가 됐다.“빛의 속도가 파장에 따라 결정되면, 초기 우주의 시공간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지름이 1mm 줄어드는 데 시간이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부지조사보고서에서 불량한 기반암이라고 나온 결과를 가지고 틀린 숫자까지
인용
해서 양호한 기반암으로 잘못 결론 내렸다.지하수도 마찬가지다. 부지조사 보고서 이후 추가 시추공을 뚫어서 좀 더 상세한 조사를 할수록 지반에 흐르는 지하수는 풍부하고 유속이 빠르다는 것이 확인됐다.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자료 조사를 통해서 오류가 없는 내용을 교과서에 담아야 한다. 그런데 A 수학교과서의
인용
자료를 보면 33개 중에 단 3개만이 논문이고 나머지는 수학도서나 기사, 인터넷 사이트다. 내용에 관한 출처를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는 자료들을 훨씬 더 많이 참고하고 있는 셈이다.하지만 교과서는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발암율이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오히려 낮다”는 산보연의 설명도 자주
인용
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 측은 “통계조사에 오류가 있다”면서 “다른 공장보다 설비가 낡은 1~3라인만 조사하면 다르게 나올 것”이라고 반발한다.피해자는 200여 명, 산재 인정은 4명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는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성능이 높아집니다. 검출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조 교수의 논문은 아직 많이
인용
되지 않았고, 여전히 낯설게 여기는 과학자들이 많다. 포럼에서의 분분함이 그 증거다. 조 교수는 다른 물리학자의 무관심에 낙담해 한동안 자기홀극 연구에서 손을 떼고 ‘모든 것의 이론(통일장 이론)’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정해서 순서대로 결과창에 표시해 주는 거죠. 해당 웹사이트의 내용을 여러 사이트에서
인용
했거나, 같은 검색어를 입력했던 사람들이 많이 방문했을수록 그 사이트에 점수를 높게 주는 방식이에요.이 검색 방법 덕분에 구글은 다른 어떤 검색 사이트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아 줄 수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현실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전기자전거는 대중교통과 연계하기 위한 1
인용
이동수단이지요. 전기자전거가 가장 현실적이고 가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겁니다.”조범동 VM대표는 전기자전거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젊은 사업가다. 현재 친환경 개인교통수단으로 각광을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더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힉스 입자의 존재다. 이 내용을 힉스 교수의 논문에서 직접
인용
해보면 이렇다. “방정식 2b는 벡터 파동(장 또는 입자를 의미)이 질량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려준다.”양자장론에 따르면, 장이 있다면 곧 해당하는 입자가 있다. 힉스 교수의 논문은 질량을 지니는 새로운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목표를 향해 전진해 가라고 충고한다. 트리나 포올러스의 ‘꽃들에게 희망을’이란 책을
인용
하며 “애벌레가 화려한 나비로 거듭날 수 있는 것은 중간에 포기하고 싶어질 정도의 시련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의심하지 않고 끝까지 도전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 교수는 항상 연구하는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것. 연구결과가 실리자마자 나노분야 연구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해 지금까지 그 논문의
인용
횟수는 1100번에 이르고 있다. “나노입자 분야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나노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존에는 다양한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든 뒤 같은 크기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