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열렸던 10회 GSA에 처음 참석했어요. 당시 영국에서 군론을 세부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밟고 있던 저에게 GSA는 꼭 가보고 싶은 학회였고, 저와 친분이 있는 연구자들도 다 참석하기로 돼 있었지요. 기대만큼이나 저의 첫 GSA는 정말 좋았습니다. 지금은 모두 교수가 된 그리웠던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시기에 원시 블랙홀을 만들었다면, 역시나 우주배경복사처럼 원시 블랙홀 입자들이 우주 전공간에 퍼져 있을 것이다. 우주에 퍼진 무겁고 안정적이며 빛을 내지 않는 입자. 바로 암흑물질의 특성이다. 힉스 연구가 더 이뤄지면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인 원시 블랙홀의 미스터리도 자연스럽게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의과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우유부단함이 왕위를 얻지 못한 원인일 것이라고 분석하는 확장적 사고를 보여줌. ●전공과 무리해서 엮지 않기 고등학교는 다양한 학문을 넓고 얕게, 대학교는 한 학문을 깊게 배우는 곳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의대에 관련된 활동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활동을 해보려고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비행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해요. 하비 교수는 독특하게도 학부에서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에서 석사 학위를, 항공우주공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어요. 석사 시절 우연히 갈매기의 날개를 연구하다가 새의 비행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해요. 하비 교수에게 이번 연구에서 수학의 ...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우연히 병역 특례 기관이라 남성들에게 꿈의 직장인 국방과학연구소에서 해석학을 전공한 사람을 뽑는다는 채용 공고를 보게 돼요. “국방과학연구소는 항상 남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냈는데, 그땐 그 규정이 빠진 채 공고가 났더라고요. 직접 전화해서 ‘혹시 여성도 뽑는다는 말인가요?’라고 ...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프리츠커 상을 받은 영국계 이라크인 자하 하디드가 설계했어요. 그는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해 수학을 이용한 건축 설계로 유명하지요. 카타르 전통 보트인 ‘도우’의 돛과 카타르의 특산물인 진주 조개 모양에서 영감을 받아 경기장을 설계했다고 해요. 알 자누브 스타디움의 지붕 물결은 더운 ... ...
- [기획]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 내 일의 원천!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주제, 활영 방식 등에 여러 변화를 주며 이색적인 작품을 만들 예정입니다. 수학을 전공해 아나운서로 일을 하며 많은 혜택을 받았어요. 서울에서 열린 2014 세계수학자대회, 2012 국제수학교육대회를 비롯한 여러 이공계 관련 행사의 사회를 볼 수 있었거든요. 그리고 수학을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 ...
- [과동키즈] 한국 첫 거래소에서 탄소 사고 팝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화학, 자동차, 반도체, 식품 등 여러 산업분야 중 화학산업을 맡았다. 학교에서 배운 전공 지식은 화학공학 기업의 사업 내용을 파악하고 재무 분석을 할 때 큰 도움이 됐다.그는 잘 나가는 애널리스트였다. Fn가이드 화학 부문 애널리스트 1위, 톰슨로이터 화학 부문 애널리스트 아시아지역 1위 등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자연과학부에 진학했다가 우연히 정수론 수업을 들었는데 너무 재밌었어요. 결국 학부 전공을 수학으로 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자가 됐습니다. 대학원 시절, 지도 교수님께 저의 첫 연구 프로젝트 결과를 설명했을 때가 아직도 생생히 기억나요. 설명이 끝나자 교수님이 ‘명진, 드디어 다 해냈네 ... ...
- [특집] 기후 이민을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2.5°C 높아지면 5600만~8600만 명이 기후 이재민이 될 것”으로 봤습니다.환경경제학을 전공한 유종현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가난한 사람, 가난한 나라일수록 이주를 하거나 방벽을 세우는 것 같은 대비를 하기 어렵다”며 “기후변화가 심해질수록 평등성은 떨어질 것”이라고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