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도"(으)로 총 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개인 메신저의 정보는 수집하기가 불가능하죠. 인터넷 신조어 사전도 없습니다.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팩트 체크 인공지능 기술은 주로 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트위터를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돼 왔다”며 “그러나 국내는 정제된 데이터를 구하기가 너무 ... ...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절연체에서 전도체로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는 장치다. 기존 소자는 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샌드위치처럼 넣어서 3층 구조로 만들었는데, 연구팀은 알루미늄과 탄소섬유로 직물 형태의 소자를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측정을 위해 고분자 필름을 코팅해서 만든 그래핀 열전소재 샘플(위 동그라미)과전기전도도와 열전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샘플(아래 동그라미). 연구팀은 ‘나노리소그래피’라는 정교한 깎기 기술을 이용해 그래핀에 구멍을 뚫을 수 있었다. 리소그래피는 ‘리소스(Lothos, 돌)’와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받았다.이즈야마-김-구보 이론은 자석과 같은 금속 강자성체가 자성을 나타내는 데에 전도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론이다. 강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석이 됐다가 외부 자기장이 사라져도 자성을 유지하는 물질을 말한다. 당시까지는 원자 내부에 묶여 있는 전자들이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뚫려있는 ⑥번의 경우, 뚫려있는 부분은 전도 모멘트가 작았지만, 이것이 전체 건물의 전도 모멘트를 줄여주지는 못했다. 반면, ④번 형태 중 옆 면이 2개인 건물(긴 자 모양)과 ⑤번 유형 중 직육면체가 180°로 꼬인 형태의 건물은 오히려 평범한 직육면체 건물보다도 값이 컸다.건물이 받는 에너지에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는 양자물질은 뭘까. 김기석 교수는 단연 ‘위상초전도체’를 꼽았다. 그는 “위상초전도체의 한 가지 예로 3차원 D 그룹에 속하는 헬륨-3의 B상태는 위상적으로 특별한 초유체 상태”라며 “표면에서 전자들이 마요라나 페르미온이라는 입자와 동일한 상태를 만들 거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 즉, 전도선 여러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셈이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전도선이 축전기의 금속판과 같은 역할을 해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에서는 장미 안에 커패시터와 저항을 구현하는 데에 성공해 기본적인 회로를 구성했다. 연구팀은 장미의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사실을 보여준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양자홀 효과는 전류량을 전압으로 나눈 값인 홀 전도도가 정수 또는 분수인 경우로 나뉘는데, 괴짜 천재로 유명한 로버트 러플린은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기발한 이론을 1983년에 발표했다. 그 설명은 이렇다. 아주 얇아 두께를 논할 수 없는 2차원 물질을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임계온도는 네스팅 조건과 관계가 없다는 걸 보인 것이다. 김 교수는 “철 기반 고온초전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을 만드는 데 기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2011.4)dl.dongascience.com/magazine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예로 들어보자. 열 감지 물질에 도달한 열을 측정해야하는데 자칫 이 열이 기판으로 전도돼 새어나갈 가능성이 있다. 열을 감지하는 부분을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띄우면 이런 문제가 간단히 해결된다. 관성센서 역시 관성을 감지하는 센서의 상부가 좌우, xyz축으로 잘 흔들리게 하기 위해 높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