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도"(으)로 총 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그래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용해 3차원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래핀은 구리나 강철보다 강도가 세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나 꿈의 소재로 불리지만, 3차원으로 만들면 성능과 구조 안전성이 떨어져 실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탄소를 가진 아세틸렌과 에틸렌을 마이크로미터(μm․100만 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흐르는 현상이다. 흑린은 다른 2차원 소재보다 전하의 이동이 10배 이상 빠르면서 열 전도도가 낮은 성질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열전소재로 각광받고 있다.배명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3차원 구조의 흑린 속 전하들이 열전현상이 일어날 땐 평면방향(2차원)으로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행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건강을 해치는 다이어트가 본말이 전도된 병리적 현상인 것처럼, 필요 이상의 관심을 위해 경쟁하는 것 역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조작된 희소성은 무의미한 경쟁을 만든다사회학자 필립 슬레이터는 “희소성이란 가짜다. 희소성의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CTD는 부피가 12L인 원통 36개가 연결된 해수 채집기다. 36곳의 해수를 지점별로 채취해 전기전도도, 염분, 수심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다. 피코그램(1조 분의 1g)의 미량 원소까지 분석할 수 있어서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해수가 얼마나 오염됐는지, 바닷속에 플랑크톤이 얼마나 사는지도 알아낸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않고 물체 내에서 이웃한 분자들과 연속적으로 충돌하며 열을 전달하는 현상을 ‘전도’라 한다.복사 : 햇볕을 쬐거나 무대에서 강한 조명을 받으면 따뜻해진다. 이처럼 직접 맞닿거나, 다른 물질을 거치지 않고도 서로 떨어져 있는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열이 직접 전달되는 현상을 ...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 하지만 대부분 섬유 위에 딱딱한 고체 전자소자를 붙이는 정도였다.연구팀은 전도성 실 표면에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반도체 막과 절연막을 동시에 코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절연막과 반도체 막을, 마치 물과 기름이 분리되듯 자연스럽게 층을 따로 형성하게 만든 것이다. 연구팀이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고 생각 해보자!). 핵융합 장치에서 사용하는 초고 온의 플라스마의 경우 전기전도도가 무한 대에 가깝다. 또한 플라스마 상태의 입자들은 전기장 과 자기장에 반응하는 특성을 갖는다. 양 이온과 전자는 전기장을 걸어주면 가속돼 에너지가 높아지고, 자기장을 걸어주면 자 기장 방향을 따라 ... ...
- [과학뉴스] 그래핀 위에선 전자도 물처럼 흐른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이언스’ 2월 11일자에 발표했다.그래핀은 원자 한 층 두께의 2차원 탄소 물질로, 전기전도성이 실리콘의 100배에 이르고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뛰어나다. 하지만 아직까지 물리적인 특성을 완벽히 파악하지 못했다.연구팀은 그래핀이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그래핀과 구조가 유사하고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두께가 0.3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얇으면서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전기전도성이 실리콘보다 100배 좋습니다. 이런 그래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흑연을 원자 한 층 두께로 얇게 벗겨내야 합니다. 오염물질을 차단 해야 하는 것은 물론, 진동과 자기장, 소음 간섭도 막아야 합니다. 이렇게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 때문에 현재 나오고 있는 인공충전재 패딩은 구스 다운 패딩보다 다소 얇다. 충전도를 높이기 어렵고, 보온 성능을 올리기 위해 충전재를 너무 많이 넣으면 무게 때문에 소비자에게 외면 받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를 감안하고도 인공충전재 패딩을 입겠다고 마음먹어도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