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체
d라이브러리
"
전도체
"(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전기로 수질오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측정해 볼 수 없을까. 어렵고 복잡한 방법이 아닌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말이다. 물이
전도체
라는 사실은 다 알 것이다. 그렇다면 물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 봄으로써 오염정도를 알아볼 수 없을까. 그래서 우리는 디지털 테스터를 이용해 간단하게 측정해 보기로 했다. 측정된 저항값과 오염정도는 ... ...
대량생산 가능한 고분자 초
전도체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고려대 최동식교수(화학과)와 서광석교수(금속재료공학부)가 새로운 초전도물질을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들이 개발한 것은 고분자 계열의 초 ... 아직 임계온도가 너무 낮다. 이를 위해 현재 고려대팀은 이번에 합성한 고분자 초
전도체
의 구조 분석을 위한 후속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 ...
고온초
전도체
발견 10년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셈이다. 어떤 강력한 힘이 고온에서 전자들을 잡아당기는 것일까. 현재까지 고온 초
전도체
에서는 쿠퍼쌍이 원인이라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런데 무엇이 1만배 이상의 인력을 만들어내는지는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을 알면 노벨상은 따놓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한다 ... ...
군고구마 네온사인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찐고구마 (5)눈이 묻은 털장갑 (6)강아지 발바닥 (7)달걀 껍질 (8)땅콩 (9)된장국 (10)납 (11)초
전도체
(12)얼린소금물 (13)바나나껍질 (14)껌종이(은박지) (15)햄이나 소시지 (16)유리 (17)풍선 (18)과자 (19)립스틱 (20)젖은 나무 (21)세수비누 어떤 물질이 전기를 통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쉽게 알 수 있 ...
3. 세계 최소 분자 인물화 제작 성공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전자)가 지나가는 대부분의 통로는 3차원이다(예: 전자제품속의 구리 선). 이러한 3차원의
전도체
를 한쪽 방향으로 납작하게 만든다면 전자의 운동은 2차원으로 구속될 것이다. 이처럼 전자의 운동이 2차원에 구속된 구조를 양자우물이라고 한다.이때 구속된 한쪽 방향의 전자에너지는 (그림)의 ... ...
4. 마이크로·나노세계 여는 신기술들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고체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알카리 금속 원자로 도핑을 하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의 초
전도체
개발이 가능하다. 안정도가 높은 원자집합체 개발은 나노분자과학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지금까지 미세·미소기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기술을 소개했다. 새로운 소자나 부품은 현재의 ... ...
2 과학, 기술의 전제조건 아니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있는 경우에는 과학과는 다른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나아가 고온 초
전도체
재료와 같이 기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과학이론으로는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그리고 기술은 경험이나 노하우 등 이론화 하기가 어려운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의 영역이 많다. 또 기술은 ... ...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세기말까지는 기초과학이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신소재 초
전도체
디지털이미지산업 초고직접데이터저장 생명공학 인공지능 등 12가지 분야의 시장규모는 연간 1조달러(8백조원)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큰 몫을 차지하는 기초과학이 취약해서는 국제경쟁에서 탈락하기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K, 미국 얼라이드 시그널사가 도달한 임계온도는 42K로 알려졌다. 아직 임계온도가 다른 초
전도체
보다 낮지만 장래성은 탄소60이 훨씬 크다.일본전기에서는 1987년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탄소60이 실제로 공껍질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1991년에는 탄소 풀러렌 내부에 다른 물질을 집어넣는 ... ...
휴대용 전화도 전자파 피해 파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안테나 이론'이라는 이론에 근거해 설정돼왔다. 인간의 몸은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전도체
이므로 인간의 키와 같은 길이의 파장이 가장 효율 좋게 전자파에너지를 흡수하여 공진작용을 일으키고 가장 피해를 준다고 한다.그 때문에 현재의 안전기준으로는 반파장이 인간의 키와 같은 길이인 8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