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체
뉴스
"
전도체
"(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연, MIT와 고온초
전도체
연구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은 “최근 고온초
전도체
기술이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주요 기술로 부상하며 이를 둘러싼 글로벌 기술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며 “협력을 계기로 고온초전도 자석 기술 역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우리나라가 미래 핵융합 ... ...
MS 개발 위상 양자컴 '마요라나 1' 초기 연구서 데이터 조작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5.07
발표된 연구결과에서 MS 연구팀은 반도체인 인듐비소(InAs)와 알루미늄을 결합해 '위상 초
전도체
'라는 물질로 미세한 나노와이어 구조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나노와이어 내부에서 '마요라나 입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큐비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마요라나 입자는 1937년 ...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성능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전고체전지용 황화물계 리튬이온
전도체
합성공정에 ‘단일 용매 매개 방식’ 습식 공정을 도입했다. 단일 용매 매개 방식 습식 공정이란 전구체 혼합을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용매 (Acetonitrile)만을 사용하는 습식 ... ...
[과기원NOW] KAIST, 머리카락보다 1000배 얇은 나노섬유로 탄소저감용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갖는 세라믹 전해전지(SOEC)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가 잘 통하는 '초이온
전도체
' 소재를 기존 전극에 섞어 복합 나노섬유 전극을 개발해 전기화학 반응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했다. 소재 복합 방식으로 나노섬유 두께를 약 45% 감소시키고 전극을 머리카락보다 1000배 가는 두께(10 ... ...
니켈 기반 고온 초
전도체
등장…"구리 없이도 초전도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확장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 매우 중요한 성과”라며 “보다 넓은 범위의 실용적 초
전도체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연구진이 개발하고 상온 초전도 가능성이 제기됐던 LK-99는 납-아파타이트 기반 산화물이다. 26.85도(300K)의 실온에서 작동한다고 주장됐다. 이번 화합물은 ... ...
MS, 첫 위상 양자컴 칩 '마요라나1' 공개…일부 물리학자들 회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관련 연구결과가 아직 완전하지 않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MS 연구팀은 위상 초
전도체
시스템이 여분의 전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측정해 냈지만 마요라나 입자의 존재가 명확히 확인된 것은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스티븐 사이먼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네이처에 "마요라나 입자가 ... ...
'고온 초
전도체
' 상압에서 구현…초전도 통합이론 알아낼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같은 '비전통적 초
전도체
'는 그동안 원리가 명확히 설명된 바 없다. 다양한 고온 초
전도체
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것은 현대 물리학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꼽힌다. 2019년 니켈이 함유된 화합물이 극저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발견되며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관련 연구가 ... ...
'상온 양자역학'이 초
전도체
LK-99로 오인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이론에 따르면 양자역학적 특성 중 하나인 ‘스핀’이 분수 값인 전자(페르미온)가 초
전도체
내에서 2개씩 짝을 이뤄 하나의 쌍(보손)으로 결합한다. 전자쌍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자유롭게 흘러다니면서 초전도 현상이 시작된다. ● "양자 컴퓨팅 응용 가능성은 있어" 발표된 연구 자체의 ... ...
그래핀과 초
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밀도와 극성을 게이트 전압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 도핑 상태에서도 초
전도체
와 그래핀 간의 원활한 연결이 가능해 강력한 초전도 근접 효과와 높은 접합 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기존 1차원 접합 방식은 그래핀의 극성을 자유롭게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 ...
12월 과학기술인상에 김범준…양자 스핀 '네마틱' 상 세계 최초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선정된 김범준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론상 예측되던 ‘양자 스핀 네마틱 상’ ...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 물질상의 특성을 잘 이해하게 되면 고온초
전도체
등에 새로운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