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방
우유
밀크
가슴
쇠젖
소젖
앞가슴
d라이브러리
"
젖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맘껏 채우고, 굳은 몸을 풀기 위해 수영을 즐긴다. 바다표범도 새끼를 낳았다. 20일 정도
젖
을 먹은 새끼는 얼음을 뚫고 헤엄치는 법을 배운다. 북극해를 신나게 누비는 새끼 바다표범은 곧 당당한 북극 생태계의 일원이 될 것이다. 바다를 헤쳐 나가는 거대한 순록의 무리도 보인다. 여름이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연꽃잎 효과를 나타낸다.섬유 올 하나하나에 돌기를 만들어 비에
젖
지 않는 옷을 만들거나 스스로 먼지나 때를 없애는 페인트를 개발할 수 있다. 목욕탕 거울에 연꽃잎 효과를 내는 필름을 코팅하면 김이 서려 뿌옇게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자동차 전체에 이런 필름을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새끼 두루미는 남겨져 죽음을 맞기도 한다.두루미 부부는 마주보고 고개와 날개를 뒤로
젖
힌 채 번갈아 울어댄다. 사랑을 확인하고 부부 영역을 표시하는 행동이다. 남편이 창을 하고 아내가 따르는 부창부수(夫唱婦隨) 그대로다. 또 껑충껑충 뛰며 원을 그리기도 한다. 두루미가 가진 독특한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입자로 되어 다른 액체 속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 이 액체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동물의
젖
이기 때문에 유탁액(乳濁液)이라고도 한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용해되지 않는 액체도 흔들어 섞으면 에멀션이 되지만, 불안정하여 각각의 액상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에멀션화제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됩니다. 머리카락이나 손톱이 만들어지게 되고 손가락을 빨거나 양수를 마시며 엄마
젖
을 빠는 연습을 하기도 합니다. 엄마배 밖에서 나는 소리도 들을 수 있게 되어 소리에 반응을 하기도 합니다. 얼굴은 눈썹과 속눈썹까지 자라기 시작해 거의 완전한 아기의 얼굴이 되고 표정은 더욱 다양해지게 ... ...
정자의 든든한 후원자 전립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프라스트’(prost)는 prostate, 즉 전립샘을 뜻한다. 전립샘은 방광 아래에 요도를 감싸고 있는 분비샘이다. 전립샘에 질병이 생겨 비대해지면 요도를 눌 ... 주변 거뭇거뭇한 부분으로, 윤활유가 분비된다. 아기가
젖
꼭지를 물 때 입술과 엄마
젖
의 피부에 마찰이 생겨 상처가 나지 않게 한다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입자로 되어 다른 액체 속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 이 액체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동물의
젖
이기 때문에 유탁액(乳濁液)이라고도 한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용해되지 않는 액체도 흔들어 섞으면 에멀션이 되지만, 불안정하여 각각의 액상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에멀션화제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시작했다.주인이 사라진 땅에 남은 것들초기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모르가누코톤은
젖
을 빤 흔적이 있었고 온몸이 털로 덮인 쥐처럼 생긴 작은 포유류였다. 이들은 거대 동물인 공룡에 쫓겨 생존에 급급할 수밖에 없었으며 사냥도 밤에 할 수 밖에 없었다. 먹이는 주로 곤충. 그러나 생존을 향한 ... ...
시작을 알리는 봄의 작은 속삭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뱃속에서 평균 114일 동안 자란 후에 태어납니다. 아기돼지들은 영양분이 풍부한 어미의
젖
을 먹고 쑥쑥 자랍니다. 봄비를 맞고 금세 자라는 새싹들처럼 동물들의 탄생도 경이롭기까지 합니다. 우리 모두 새로운 시작을 축하해 주고 무럭무럭 자라나라고 힘차게 응원해 줘요. 그리고‘어린이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동북아시아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포유류 동물과 동북아시아인은
젖
을 떼면 우유 속의 유당을 분해하는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유를 마시면 배에 가스가 차거나 설사를 하는 유당불내증이 나타난다. 반면 북유럽계의 사람들은 약 1만년 전부터 유당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