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젖"(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2024.06.12
- 적어 색맹인 상태다. 따라서 반사되는 빛의 세기를 바탕으로 대상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젖을 물린 채 자신을 바라보는 엄마의 얼굴은 주위와 밝기가 다른 덩어리로 인식된다. 그 뒤 물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서서히 색을 식별하면서 정상 시지각을 갖게 된다. 반면 백내장 수술을 받은 청소년은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2024.05.16
- 출산 직후 새끼와 떨어져 체취를 각인하지 못한 양은 나중에 새끼가 와도 알아보지 못해 젖을 물리지 않는다. 이때 어미 양에게 옥시토신을 투여하면 새끼로 받아들여 수유를 시작한다. 여성 또는 일부일처제 동물의 암컷이 보이는 짝에 대한 애착 역시 같은 신호 경로가 재활용된 것으로 행동의 ... ...
-
- "mRNA백신 맞은 엄마 젖에 코로나19 항체 더 많아"동아사이언스 l2022.03.15
- 미국 화이자, 미국 모더나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접종한 산모의 모유에서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등 벡터바이러스 기반 백신을 맞은 산모보다 더 많은 항체가 발견됐다는 보고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화이자, 미국 모더나 등 신종 코 ... ...
-
- [카드뉴스]인류는 우유 마시는 어른 되기 위해 진화 중일까동아사이언스 l2021.07.20
- 우리는 모두 락타아제를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아기가 엄마의 젖을 먹는 동안에는 락타아제를 만드는 유전자가 활발한 활동을 합니다. 이유기를 거치고 어른이 먹는 음식에 의존할수록 락타아제는 점점 줄어듭니다. 어른이 되면 락타아제를 만드는 유전자는 활동을 멈춥니다. ... ...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2021.03.20
-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살고 싶은 원시적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낙토다. 안전한 은신처 하지만 인간은 정말 사바나의 환경을 좋아할까? 골프장의 조경은 아름답지만, 그렇다고 골프장 한 가운데 집을 짓고 살라면 좀 꺼려진다. 아마 이런 항변을 하는 ... ...
-
- [인간 행동의 진화] 영아살해2021.01.10
- 아내가 된 어머니, 아버지의 첩으로서의 어머니, 집을 떠난 어머니, 심지어 보수를 받고 젖을 주며 키워준 어머니. 모두 어머니지만, '다른' 어머니다. 학대로 숨진 정인이는 생후 8개월에 입양됐다고 한다 그리고 생후 16개월이 되던 지난 해 세상을 떠났다. 정말 슬픈 일이다. 양부모는 법의 처벌을 ... ...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2020.11.23
- 산모의 소장에 있는 점막 면역계에서 유래한다. B세포는 혈액을 통해 유방의 유선(젖샘)으로 이동해 IgA를 분비한다. 이 항체는 운반 단백질을 통해 유방 조직에서 모유로 수송된다. 운반 단백질 일부는 항체에 그대로 남는다. 이 분비 성분은 항체를 둘러싸 아기의 입이나 장에서 분해되는 것을 ... ...
-
- [인간 행동의 진화]귀여워지고 싶은 마음2020.10.11
- 하지만 미란이와 결혼하여 자손을 남기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상당수의 동물은 젖을 뗄 무렵, 체형과 행동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누구나 겪어야 하는 독립과 투쟁의 시기다. 거친 자연에서 풍찬노숙하며 살아야 한다. 먹이를 구하고, 동성의 라이벌과 경쟁하며, 짝을 찾고, 자식을 낳아야 ... ...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동아사이언스 l2020.08.30
- 27일 알록달록한 도마뱀처럼 보이는 그림을 표지로 실었다. 이 그림의 정체는 포유류의 젖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유선’이다.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상피세포 집단인 선조직에 속한다. 전립선도 대표적인 선 조직이다. 이런 선 조직의 상피는 여러 세포가 층을 쌓은 형태를 가진다. 표지 속에서 붉게 ...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2020.08.20
- 사람의 천연두인 인두가 아니라 우두, 즉 소의 천연두를 이용한 것은 젖소 농장에서 젖을 짜는 여인들이 천연두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두에 걸린 사람은 인두에 잘 걸리지 않는다. 우두는 다행히 사람에게는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인두에 대한 저항력을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