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못 푼 60년 묵은 문제였다.김 교수는 수학을 이용해 온도에 따라 PER의 분해 속도를 조절해 생체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인산화 스위치’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입자 치료는 암세포만 정확히 조준한다. 브래그 피크 위치는 빔의 에너지 크기를 통해 조절한다. 그래서 입자 치료를 위해 가속기가 필요하다. 빛의 속도의 70% 수준으로 빠르게 입자를 가속시켜 고에너지 빔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입자 치료의 시작은 약 6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4년 버클리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통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흡광 및 발광 파장을 조절하고 효율을 개선할 수 있죠. 실제로 탄소 양자점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화 기술이 개발 중인데요, 그중 가시광 영상화 기술은 촬영과 결과 확인이 간편해 세포를 관찰하는 데 주로 쓰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풍성한 소리를 끊김 없이! 고무장갑 백파이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음이, 짧으면 높은 음이 나요. 고무장갑 백파이프도 빨대 길이를 조절해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죠. 기타 등 악기를 조율할 때 사용하는 튜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더 정확한 조율이 가능하답니다. 한걸음 더!관악기에 마스크를 씌운다면?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호흡을 통해 전염되기 ...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대지가 물을 흡수, 정화, 저장하는 능력을 되찾도록 토양 침식을 조절하고, 잡초와 해충을 억제하고, 식물 뿌리 시스템을 안정화 하는 등 토양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이 토지를 이용하는 방식이 지표면의 에너지와 물 균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의 개선도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심장과 소화기관을, 또 어떤 가스트룰로이드는 체절과 신경관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만약 추가 연구를 통해 하나의 가스트룰로이드가 여러 조직과 장기를 한꺼번에 가지도록 만들 수 있다면 그 영향력은 더 어마어마해질 겁니다. 가령 예비 엄마와 아빠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해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월드에서 영상 찍어봤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걸으려면 화면 왼쪽 하단의 전진 버튼을 일정한 힘으로 조작해야 하는데, 보통은 힘 조절을 잘 못해서 우다다다 뛰어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월드에서 찍은 영상이 프로가 촬영한 영상처럼 보이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내 아바타를 여유롭게 걷게 만드는 거예요. 6세로 모드로, 인물은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네트워크 요청을 빠르게 파악하고 예측해 그에 맞게 서버 프로세서의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는 식이다. 앞으로 더 중요해질 디지털 탄소발자국 정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결코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실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정보 기술 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의 메인 테마를 연주했어요. 전자기기 속에서 진동하거나 소리를 내는 부품을 컴퓨터로 조절해 음의 높고 낮음을 표현하고, 정확한 시간에 맞춰 작동하도록 했지요. 전자기기들을 어떻게 꾸몄는지도 꼭 살펴보세요. 방패를 들고 있는 캡틴 칫솔의 목소리가 들리나요? 유리에 균열이 가는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 기술을 활용하면 가능합니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뇌의 신경세포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특정 신경세포에 발현시킨 뒤,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방식입니다. 2019년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은 광유전학 기술로 공포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