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녹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얼음이 어는 속도를 조절하는 결빙 제어 기술은 그동안 극지방 생물들의 체액에 있는 ‘결빙 제어 단백질’의 기능을 모방해 얼음이 어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해 왔어요. 그에 비해 이번 연구는 조건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 임영웅이 되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그쳤죠. 반면 인간은 성대막을 퇴화시켜 성대만으로 소리를 내고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했어요. 이 차이를 더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영장류의 후두 구조를 본뜬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성대막의 기능을 시험했어요. 시뮬레이션 결과, 성대막이 소리를 더 크고 높게 만드는 것을 확인했어요. ... ...
- [특집] 사막에서도 쿨하게 더위 막는 경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냉방의 강도나 방향을 조절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경기장 구석구석에 스며든 냉방 조절 장치 덕분에 선수와 관중은 날씨와 관계 없이 쾌적한 경기를 치르고 즐길 수 있는 거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은 할로윈 준비 중! 가짜 피로 친구를 놀래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있으면 진짜 같은 상처도 만들 수 있어요. 실험의 핵심은 끈적끈적한 물엿의 점성을 조절하는 것이라는데…. 왜 이런 일이? 결과 : 끈적끈적한 가짜 피가 만들어진다.지금 만든 가짜 피는 할로윈 파티는 물론, 드라마나 영화의 특수 분장 팀에서 쓰기도 하는 방법이에요. 우선 피의 검붉은 색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와 고양이, 강물 때문에 싸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내리는 것을 막아 산사태를 방지한답니다.댐의 수문을 여닫으면 댐 상류의 강물 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요. 비가 많이 내려 댐 상류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문을 열어야 해요. 수문이 열리면 상류에 있던 물이 댐 너머 하류로 흘러가지요. 지난 8월 11일 강원도에서 최고 2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 ...
- [찰칵!전시회] 천 단어의 가치가 있는 그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밝게 표현하고 싶은 부분은 약하게 한 번만 누르는 식으로 명암(밝고 어두운 정도)을 조절해요. 타자기로 그린 그림인데도 연필이나 물감으로 그린 것처럼 입체적으로 보이는 이유랍니다. 타자기 작품 하나를 만드는 데는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두 달까지 걸려요.작업실에서 어떤 인물이나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그 누구보다 빠르게 내려간다!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미끄럼틀의 구슬이 더 빨리 미끄러지나요? 나무 핀을 이용하면 직선 미끄럼틀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구슬이 더 빨리 움직일지, 다양한 경사에서 실험해 보세요! 알아보자!사이클로이드 곡선이란? 미끄럼틀로 실험을 하면, 직선 미끄럼틀의 경사와 관계없이 항상 곡선 미끄럼틀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에선 똥손도 예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만들 수 있어요. 처음에는 아무렇게나 그림을 그리게 되겠지만, 설정에서 박자와 음계를 조절하며 마음에 드는 음악을 만들어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Kandinsky’에서는 화가 칸딘스키처럼, 음악이 있는 그림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수 있어요. 즐겁게 놀면서도 음악에서 소리, 리듬, 화음 등 ... ...
- [가상 인터뷰] 보이저 1호, 다시 정상 작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문제가 발생했어요. 보이저 1호의 안테나가 지구를 제대로 바라보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거죠. NASA는 “AACS가 오류를 일으켜 실제로 탐사선에 일어나지 않은 정보를 보냈다”고 밝혔어요.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죠?NASA는 “몇 년 전에 작동이 멈춘 것으로 알려진 보이저 1호의 ... ...
- [기획] 죽은 거미로 물건을 들어 올린다?! 거미 그리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폈다가 하는 거예요. 연구팀은 죽은 거미의 몸에 주사기를 꽂은 뒤, 주사기의 압력을 조절해 거미의 다리를 구부렸다 폈다 해 봤어요. 이후 거미 다리로 물체를 붙잡아 들어 올려 봤죠. 그 결과 실험에 쓰인 늑대거미 종의 경우 몸무게의 130%까지 들 수 있었고, 약 700회 반복할 때까지 물체를 잘 들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