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계
총액
d라이브러리
"
총량
"(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지하수 17%가 환경기준을 초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수자원
총량
의 약 6% 정도가 지하수로 충당되고 있는데,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도 수자원
총량
의 20-30% 정도를 지하수로 충당하고 있다.지하수의 충당을 위해 지하수의 개발에 관심을 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양질의 지하수 공급을 위해 지하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도 중요한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현대우주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인플레이션 이론은, 우리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
이 눈에 보이는 양의 1백배에 가깝다는 예언을 해주고 있다. 은하에 잠겨있으면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던 중성수소나 별의 잔해들을 합한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질이 우주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추세1989년의 통계를 보면 각종 유출사고로 인해 전세계의 해양으로 유입되는 기름의
총량
은 연간 약 56만9천t에 달한다. 80년대 초까지만 해도 1백40만t을 넘던 유출량이 이렇게 감소한 것은 해양오염을 줄이려는 각국의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하지만 유조선 사고가 점점 더 대형화되고 있고 해상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한다. 연소되지 않은 플루토늄은 방출 핵연료 중에 잔존하게 되는데 생성된 플루토늄의
총량
과 플루토늄 동위체의 조성은 원자로의 종류, 핵연료의 종류와 형태, 또 원자로 내에서의 연소기간에 따라 다르다.우리나라에서 가동하고 있는 경수로(PWR)의 경우를 보면 3년간 사용하고 난 핵연료 중에는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관측으로 구한 속도 자료를 이용해 계산된 은하의 질량이 빛을 내는 물질의
총량
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전파관측의 장점다음으로 전파(장파에서 밀리미터파까지를 일컬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전파가 통과하는 경로에 있는 입자나 먼지의 영향을 가장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상이 돼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한편 월남전 당시 남베트남에 뿌려진 고엽제
총량
은 9천1백만kg이며 이중 61%가 다이옥신을 포함한 오렌지제였다. 다른 독성물질의 경우 그 잔류기간이 보통 1주일에서 18개월까지 다양하지만 다이옥신은 독성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만도 3년반이 걸린다.Q8) ...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침출수나 발생되는 가스로 인한 2차적인 환경문제가 크게 우려되고 있다.쓰레기의
총량
으로 보면 미국은 우리나라의 60배를 버리는 명실공히 쓰레기 생산의 우승국이다. 뉴욕에서 사흘동안 버리는 생활쓰레기는 우리나라 전체의 1일 쓰레기 발생량과 맞먹는다. 미국에서 1년동안 쓰고 버리는 일회용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1백조 입방피트 이상 매장돼 있다고 미국 지질조사국이 추정 발표했다.세계 담수
총량
의 약 70%가 남극의 빙산에 갇혀 있다. 이렇게 엄청나게 많은 양의 얼음을 이용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는데 프랑스에서는 약 8천만t의 남극빙산을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지대로 예인, 식수 및 ... ...
환경협약체결 계속 난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감소목표를 정하는데는 반대라고 강경자세를 취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입장은 국가별
총량
기준으로 정할 것이 아니라 1인당 배출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 개발도상국 내부에도 석유소비량 감소를 우려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과 조기에 온난화방지대책이 필요한 AOSIS나라들의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것이다. 약 25%에 해당하는 무게의 헬륨량은 별내부와 별사이의 공간에서 관측된 헬륨의
총량
과 일치한다. 다른 관측과 더불어 이러한 두가지 결론은 결국 '정지이론의 사멸'이라는 조종을 울리게 했다.오늘날 우주의 일반상대론이라 할 수 있는 대폭발 모델은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