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계
총액
d라이브러리
"
총량
"(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33이 약 1천만퀴리였다. 흉부 뢴트겐 간접촬영 2회분 이상의 피폭자는 없었다. 주민의 피폭
총량
은 약 3천5백렘(rem·인체의 조직중에 1뢴트겐의 X선이 닿은것과 같은 생리적 효과를 낳는 방사선의 강도)이었다. 우유의 오염은 거의 제로에 가까왔다. 그러나 원자력위원회가 최대의 원자력발전소사고일 ... ...
전국 대기오염 원격감시시스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환경청은 최근 서울 강동구 신천동에 있는 환경청 청사 내에 대기오염 자동감시 장치 전산망 개통식을 가졌다. TMS(Telemetry System)전산망이라 불리는 이 ... 일정 농도 이상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에 모니터를 설치함으로써 특별지역의
총량
규제 및 오염경보를 발할 수 있다는 것 등이다 ... ...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않는 생산량을 올릴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단위면적당 생산량뿐 아니라 간척지의 쌀생산
총량
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무시할 수 없는 규모가 돼가고 있다. 현대그룹이 내놓은 서산간척 사업현황자료에 의하면 이곳에서 연간 33만6천2백80석을 생산, 전국 총미곡생산량의 0.83%를 차지할 것으로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이르고 수온도 극히 드물게 섭씨 73도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는데 온천수의 광물질
총량
은 리터당 2천3백㎎이다. 주 양이온은 나트륨과 칼륨이며 주 음이온은 중탄산으로서 중탄산나트륨온천에 속한다. 즉, 이 온천은 인체에 좋은 중요한 약수성분인 탄산이온이 적당량 함유되어 있어 내복치료에도 ... ...
PARTㆍ2 심각한 부영양화 현상 대형호수의 오염과 대책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양어장에서 배출된 인의
총량
은 36t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유역에서 유입되는 인의
총량
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가두리 양어장의 경우 호수 가운데데 그물을 치고 양식을 하는 구조적 이유 때문에 가정하수와 같은 폐수처리에 의한 인의 제거가 불가능하다. 현재 대청댐 충주댐 등 대형 인공호에는 ... ...
PART 1 물의 신비한 특성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바람의 선회운동은 허리케인의 힘을 방불케한다. 여름에 뇌우(雷雨)가 방출하는 에너지
총량
은 대형원자폭탄의 위력과 거의 같다. 사실로 이러한 물의 잠열의 원리가 지구상의 기후를 조정하는 것이다. 많은 지구상의 물과 공기중의 수증기는 더운날에는 열을 흡수하고 추운날에는 열을 ... ...
기술전쟁·인간·인간성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전체기간중 미군이 유럽과 태평양 전역에서 발사한 각종 포탄의
총량
을 초과하는 것이다. 베트남은 강대국의 각종 신무기의 실험장이었다. 오늘날 미국이 자랑하는 온갖 종류의 신무기는 베트남인들과 그 땅과 땅위의 모든것을 실험대상으로 삼아 발전시킨 것들이다.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성층권을 떠나서 아랫쪽의 11km 공기층인 대류권으로 내려가 보자. 이 층은 지구 오존
총량
의 10%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 층의 밑바닥에서 우리 모두가 살고 있다.여기에서 자외선에 의한 오존분자의 분해를 시발로하여 천연 탄소·질소·황화합물들의 모든 중요한 화학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않다는것이 여러가지 지구과학적 데이타로 밝혀지고있다. 그렇다면 지표에 있는 물의
총량
이 어떤 물리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실마리가 잡힌것같다. 즉 바다의 양은 전에 지구가 마그마오션으로 덮여있었다는것을 은밀히 기록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도표4나5를 보면 지구의 반경이 현재와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석탄을 태워 물을 끓이면 석탄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물의 온도를 높혀 에너지의
총량
에는 변함이 없지만 석탄은 탄산개스와 그밖의 기체로 변하여 공기 중에 흩어져 버린다. 결국 다시는 석탄을 태워 일을 얻을 수 없은 상태로 된다.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이다. 댐 위의 물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