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물리면 마치 총에 맞은 것처럼 아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요. 2012년 미국의 곤충학자 저스틴 슈미트가 발표한 ‘곤충 독침에 대한 보고서’에서 물렸을 때 고통 지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악명이 높답니다. 5월 23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샘 로빈슨 박사팀은 총알개미, 보석침개미 등에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추정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위튼 교수는 실로 대단한 물리학자임을 알 수 있지요. 용어 설명*양자장론 : 전기장, 자기장처럼 공간에 펴져 있는 물리장을 양자역학적으로 다루는 이론이다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팀은 8%의 틈을 메운 연구를 토대로 최신 참조 유전체인 ‘T2T-CHM13’을 발표했다. 생물학자들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더 정확한 지도가 주어진 셈이다. 05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 2003년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의 끝이자, 본격적인 유전체학 연구를 알리는 시작이었다. HGP를 통해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감사 인사로 몇 달 전에 주워서 숨겨 뒀던 특이한 돌을 지질학자에게 건네고 실험실로 뛰어갔다. 가는 길에 D의 우람한 등짝도 한 대 때려주었다. 지구의 남극에서 자라는 식물과 극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에서 얻은 저온 저항성 유전자를 감자에 도입했다. 저온 저항성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두께는 무려 4cm였고, 파괴된 직경은 22cm나 되었습니다. 말뚝버섯의 강력한 힘이 궁금해진 학자는 힘을 계산해 봤어요. 그 결과, 말뚝버섯 한 개체당 133kg의 사람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죠. 그러나 실제로 말뚝버섯의 대를 만져보면 굉장히 부드럽고 연약한 느낌이 듭니다.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10월 에드워드 위튼 미국 고등연구소 명예교수가 ‘2023년 이휘소상’ 수상을 기념해 우리나라에 방문했습니다. 이휘소상은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학자 ... 물리수학의 창시자Part3.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Part4.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끈이론은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된 *우연한 사고로 발견됐어요. 이 이론을 발견한 물리학자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발견했는지 전혀 몰랐지요. 그 이후 끈이론의 많은 퍼즐 조각이 발견됐지만, 끈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는 여전히 미스터리예요. 일반 상대성 이론과 비교해보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섰습니다. 음악, 미술, 정치 등에서 수학적인 요소를 찾고 도서관에서 전 세계 수학자에 대해 조사하며 수학 강연을 기획했어요. 유치원생, 교사, 노인, 학생 등 대상도 다양했지요. 강연으로 이름을 알리며 여러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수학의 가치를 전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강연을 ‘매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검증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어려워지는 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수학자들은 인공지능이 증명을 검증하는 걸 도와줄 수 있으면 수학이 훨씬 더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해요. 한편 증명은 주어진 공리 안에서 참이라는 논리적 추론을 쌓아 올리는 건데,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받는다. 하지만, 기본 차량은 사양이 낮아서 최고 속도가 시속 200km 밖에 안 나온다. 미래학자였던 엘빈 토플러는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의 세계는 ‘강자’와 ‘약자’ 대신 ‘빠른 자’와 ‘느린 자’로 나뉠 거”라고. 태호는 당연히 ‘빠른 자’가 되고 싶었다. 무한 고속도로를 제대로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