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10월 에드워드 위튼 미국 고등연구소 명예교수가 ‘2023년 이휘소상’ 수상을 기념해 우리나라에 방문했습니다. 이휘소상은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학자 ... 물리수학의 창시자Part3.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Part4.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끈이론은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된 *우연한 사고로 발견됐어요. 이 이론을 발견한 물리학자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발견했는지 전혀 몰랐지요. 그 이후 끈이론의 많은 퍼즐 조각이 발견됐지만, 끈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는 여전히 미스터리예요. 일반 상대성 이론과 비교해보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어려울 지경이었거든요. 급기야 러셀은 를 함께 집필했던 영국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의 사이가 나빠지고 나아가 아내와도 이별할 정도로 대인관계가 크게 흔들립니다. 그 와중에 철학적으로 운명인 줄 알았던 제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에게 학문적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 교수와 안드레이 오쿤코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이란 수학자 마리암 미르자하니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유필상 서울대학교 교수는 “콘체비치 교수와 오쿤코프 교수가 필즈상을 받은 것은 오로지 위튼 추측 증명 때문만은 아니지만,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섰습니다. 음악, 미술, 정치 등에서 수학적인 요소를 찾고 도서관에서 전 세계 수학자에 대해 조사하며 수학 강연을 기획했어요. 유치원생, 교사, 노인, 학생 등 대상도 다양했지요. 강연으로 이름을 알리며 여러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수학의 가치를 전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강연을 ‘매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검증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어려워지는 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수학자들은 인공지능이 증명을 검증하는 걸 도와줄 수 있으면 수학이 훨씬 더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해요. 한편 증명은 주어진 공리 안에서 참이라는 논리적 추론을 쌓아 올리는 건데,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목적입니다. 11월 1일 오전, KAIST 실패연구소에서 학생들의 실패를 연구하는 사회심리학자 안혜정 교수를 만나 실패주간의 뒷이야기를 물었습니다. 그는 “실패 이야기는 성공한 사람들이 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 내놓을 만한 성취가 없는 자신이 그런 이야기를 해도 될지 두려워하는 학생들이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방사성 원소를 발견한 공로로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죠. 페르미는 1950년 동료 과학자들과 식사하던 중 우연히 외계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당시 페르미는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으며, 그 중 몇몇은 지구에 이미 도달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감사 인사로 몇 달 전에 주워서 숨겨 뒀던 특이한 돌을 지질학자에게 건네고 실험실로 뛰어갔다. 가는 길에 D의 우람한 등짝도 한 대 때려주었다. 지구의 남극에서 자라는 식물과 극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에서 얻은 저온 저항성 유전자를 감자에 도입했다. 저온 저항성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받는다. 하지만, 기본 차량은 사양이 낮아서 최고 속도가 시속 200km 밖에 안 나온다. 미래학자였던 엘빈 토플러는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의 세계는 ‘강자’와 ‘약자’ 대신 ‘빠른 자’와 ‘느린 자’로 나뉠 거”라고. 태호는 당연히 ‘빠른 자’가 되고 싶었다. 무한 고속도로를 제대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