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서식지"(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소식]지사탐 닥터구리팀 '제인구달의 뿌리와 새싹' 프로젝트 수상을 축하합니다!공지사항 l20211125
- 오늘날에도 닥터구리 팀은 서식지를 훼손할 가능성이 높은 고속도로 건설에 대항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수원청개구리의 주요 서식지를 지키기 위한 행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닥터구리팀의 수상 발표 영상 모습을 함께 볼까요? 닥터구리팀의 소감 한 마디! "이런 의미 있는 상에 후보가 되었다는 ...
- 우리의 소중한 보물, 갯벌의 종류와 생물들!기사 l20211120
- 1급입니다! 와, 잘 지켜야겠군요! 대한민국에서는 노랑부리저어새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받습니다. 주요 서식지인 한반도 서해안의 갯벌이 새만금 등 간척사업과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건축 매립으로 점차 줄어들면서 위협받는 종입니다. 식물로는 퉁퉁마디가 있습니다. [ 출처: https://blog.naver.com/ ...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기사 l20211117
- 통한 제주도에 서식하는 풀매미(Tettigetta isshikii )의 분포현황 및 서식지 특성 이란 주제로 발표한 매미는칫칫팀이었는데요, 풀매미 서식지에 관한 자세한 연구가 기억에 남습니다. 다음 순서는 땅후루팀이 한국에 서식하는 땅거미속( Atypus )의 계통학적 재정립이라는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앞 팀들도 정말 잘해주셨지 ...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존했을까?기사 l20211116
- 기사에도 예고한 오리너구리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출처:https://blog.naver.com/kjonga/221308572931 국명:오리너구리 학명:Ornithorhynchus anatinus 서식지:오스트렐리아(호주) 1798년 영국의 해군 장교였던 존 헌터는 호주 동부 해안가에서 오리너구리를 최초로 발견하게 됩니다. 당시에는 오리너 ...
- 충우곤충박물관에 가다!!기사 l20211113
- 신청하고 표본이 연화 중일 때 박물관 관람을 했습니다. 국명: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학명:Dynastes hercules 몸길이:46-178mm(헤라헤라 아종) 서식지:(헤라헤라 아종)과돌루프 제가 가장 좋아하는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 입니다.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로 유명합니다.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는 13개의 아종이 ...
- [쥬라기 월드-2] 날렵한 쥐라기의 사냥꾼, 딜로포사우루스기사 l20211110
- 무리사냥을 했다고 충분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일단 미국, 딜로포사우루스의 다른 서식지에서는 한 번도 무리사냥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중국에서는 (사실 아무 관계 없는) 딜로포사우루스와 무척이나 닮은 딜롱과 구안롱이 서식했기 때문에, 무리사냥을 한 것은 오히려 딜롱이나 구안롱 ...
- 갯벌에 대하여!!기사 l20211110
- 갯벌에 대하여입니다. 갯벌은 바다의 물이 빠지며(썰물) 땅이 들어나는 곳을 갯벌이라고 합니다. 갯벌에는 많은 생물들이 사는 서식지와 어장입니다. 갯벌은 보통 어업 종사자의 주 수입원이기 때문에 아무나 들어가서 낙지나 조개를 채취하면 않됨니다. . 출처: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 ...
- 두구두구! 2021년 올해의 이그노벨상 수상작을 소개합니다!기사 l20211109
- 여러 자세와 방법으로 이동시키며 심장과 폐 기능의 변화를 살폈지요. 그 결과 코뿔소를 마취시켜 헬리콥터에 거꾸로 매달아 서식지로 운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임을 알아냈답니다. 그리고 이는 올해 2021년 이그노벨상 교통 분야에서 상을 받았고요! 출처: 동아사이언스 다음으로, 화학상을 받은 어떤 영화를 보면 방귀가 더 자주 나올까라는 ...
- 메갈로돈이 멸종한 이유기사 l20211109
- 바다의 수온도 낮아지기 시작했죠. 그래서 1994년, 고생물학자였던 그레이 모건 박사는 메갈로돈들이 낮은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멸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후 1996년, 해양 생물학자인 피터 클림리 박사도 메갈로돈의 주 먹이였던 고래들이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고 주장하며 그레이 모건 박사를 지지합니다 ...
- 지켜주세요, 푸른 지구!기사 l20211105
- 변화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상기후는 동물들이 살 곳을 잃게 만들기도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숲을 마구 베면 동물들의 서식지는 사라집니다. 또 한 종의 생물을 많이 포획하면 먹이사슬이 깨져 생태계의 질서가 무너지죠. 2019년 호주의 높은 기후로 인해 정말 거대한 산불이 났었는데요, 기억하시나요? 그 산불로 인해 멸종위기종인 코알라부터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