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서식지"(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쥬라기 월드-2] 날렵한 쥐라기의 사냥꾼, 딜로포사우루스기사 l20211110
- 무리사냥을 했다고 충분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일단 미국, 딜로포사우루스의 다른 서식지에서는 한 번도 무리사냥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중국에서는 (사실 아무 관계 없는) 딜로포사우루스와 무척이나 닮은 딜롱과 구안롱이 서식했기 때문에, 무리사냥을 한 것은 오히려 딜롱이나 구안롱 ...
- 갯벌에 대하여!!기사 l20211110
- 갯벌에 대하여입니다. 갯벌은 바다의 물이 빠지며(썰물) 땅이 들어나는 곳을 갯벌이라고 합니다. 갯벌에는 많은 생물들이 사는 서식지와 어장입니다. 갯벌은 보통 어업 종사자의 주 수입원이기 때문에 아무나 들어가서 낙지나 조개를 채취하면 않됨니다. . 출처: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 ...
- 두구두구! 2021년 올해의 이그노벨상 수상작을 소개합니다!기사 l20211109
- 여러 자세와 방법으로 이동시키며 심장과 폐 기능의 변화를 살폈지요. 그 결과 코뿔소를 마취시켜 헬리콥터에 거꾸로 매달아 서식지로 운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임을 알아냈답니다. 그리고 이는 올해 2021년 이그노벨상 교통 분야에서 상을 받았고요! 출처: 동아사이언스 다음으로, 화학상을 받은 어떤 영화를 보면 방귀가 더 자주 나올까라는 ...
- 메갈로돈이 멸종한 이유기사 l20211109
- 바다의 수온도 낮아지기 시작했죠. 그래서 1994년, 고생물학자였던 그레이 모건 박사는 메갈로돈들이 낮은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멸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후 1996년, 해양 생물학자인 피터 클림리 박사도 메갈로돈의 주 먹이였던 고래들이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고 주장하며 그레이 모건 박사를 지지합니다 ...
- 지켜주세요, 푸른 지구!기사 l20211105
- 변화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상기후는 동물들이 살 곳을 잃게 만들기도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숲을 마구 베면 동물들의 서식지는 사라집니다. 또 한 종의 생물을 많이 포획하면 먹이사슬이 깨져 생태계의 질서가 무너지죠. 2019년 호주의 높은 기후로 인해 정말 거대한 산불이 났었는데요, 기억하시나요? 그 산불로 인해 멸종위기종인 코알라부터 ...
- 메갈로돈은 왜 멸종했을까?기사 l20211030
- 30%가 빙하로 덮여 있었고,바다의 수온도 내려가기 시작했는데요. 1994년에는 그레이 모건 박사는 차가워진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 축소로 멸종됬다고 주장했습니다. 1996년에도 피터 클림리 박사도 고래가 이주하면서 먹이 부족으로 메갈로돈이 멸종됬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2016년 카타리나 파미엔토 박사는 당시 수온이 1도 였을때 메 ...
-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의 용도는?기사 l20211029
- 홍준택 기자 입니다. 오늘은 스테고사우루스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국명:스테고사우루스 학명:Stegosaurus 무게:2-2.6t 서식지:미국 시대:쥐라기 후기 몸길이:약9m 스테고사우루스는 지붕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스테고사우루스의 가장 큰 특징은 등에 있는 골판인데요. 스테고사우루스는 15-22개의 골판을 어디에 사용했을까요 ...
- 상어 이빨 도마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기사 l20211020
- saharicus 학명 읽는 법: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 학명의 뜻: 상어 이빨 도마뱀 길이: 12.5~13m이상 높이: ? 무게: 6~7t 서식지: 북아프리카 전역 생존시기: 1억 500만~9500만 년 전 발견된 화석: 2021년까지 두개골 2개, 그리고 다른 뼈 몇 개 발견연도: 1931년 식성: 육식 (주로 몸집이 큰 용각류) ...
- 최강의 공룡 인도미누스 렉스!기사 l20211013
- //m.blog.naver.com/dr_trex/221248142700 학명: Indominus rex 학명 읽는 법: 인도미누스 렉스 학명의 뜻: 불굴의 왕 길이: 15.2m 높이: 6.7m 무게: 9t 서식지: 코스타리카 이슬라 누블라 섬 생존시기: 2012년~ 2015년 12월 말 발견된 화석: (모사사우루스의 케이지에서) 완전한 골격 ...
- 티라노사우루스 만큼 난폭한 공룡들기사 l20211012
- 걷는 게 정설이다. 헤엄치는 공룡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꼬리를 제외하고는 물속에서 생활하기 부적합한 구조였다. 오랬동안 서식지와 시기가 다르면서도 티라노사우루스의 경쟁 상대로 군림해 왔다. 여기까지였습니다. 다음에는 최강의 공룡 인도미누스와 관련된 기사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