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뉴스
"
이름
"(으)로 총 4,736건 검색되었습니다.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근교에 설립됐다. 파이프스톤 크릭 뼈층 발굴 작업에 처음부터 참여했던 커리 교수의
이름
을 따 만들어진 이 박물관은 비교적 짧은 역사와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파이프스톤 크릭 뼈층의 발굴부터 연구와 전시에 이르는 복합 연구기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전까지 앨버타 북부에서 발견된 ... ...
영재학교 설립이 지방 활성화 대책?…"몰이해서 나온 졸속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인과영)·한국과학예술영재학교(한과영) 등이 영재학교다.
이름
에 '과고'가 들어가 있지만 과학고와는 차별점이 많다. 영재학교는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재편할 수 있다. 심지어 과학고는 시·도 광역단위로 학생모집을 진행한다. 정치권에서 이같은 차이점을 크게 ... ...
[킁킁과학] 오래된 책 냄새의 정체
과학동아
l
2024.11.09
분해되면 종이를 노랗게 만드는 물질이다. 리그닌은 분해되면서 ‘바닐린’을 방출한다.
이름
이 암시하듯 달콤한 바닐라 향을 낸다. 종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삭아간다. 결국은 분해될 운명이다. 종이에 담긴 내용은 그렇지 않다. 어떤 글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새로워지고 많은 사람에게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낟알이 이듬해 발아하므로 또 섞인다. 게다가 벼라 제초제에도 안 죽는다. 잡초벼라는
이름
처럼 앵미는 야생벼와 순화벼 사이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앵미 역시 종류가 무척 다양해 야생벼에 아주 가까운 것에서부터 순화벼와 비슷한 것까지 분포한다. 필자가 본 것은 낟알 탈립성의 관점에서는 ... ...
전공의 단체 “임현택 의협 회장 탄핵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구축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글에는 박 위원장을 포함한 전공의 90명이
이름
을 올렸다. 박 위원장과 임 회장은 그간 온라인상에서 서로를 비방하며 갈등 양상을 드러내 왔다. 임 회장의 탄핵 여부를 가르는 의협 임시대의원총회가 10일 예정되자 박 위원장이 대의원들에게 임 회장을 ... ...
중이온가속기 '라온' 내부 자료, 사립대 교수 논문에 '버젓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연구자가 작성하는 게 관례지만 이번 논문의 경우 외부 사립대 교수가 단독 교신저자로
이름
을 올렸다. 출연연 원장을 역임한 한 원로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종설논문은 시설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연구자가 작성한다"며 "외부에서 외부자의 성과로 발표된 것은 도덕적으로 문제를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모양의 큐브샛(CubeSat)인 리그노샛은 나무를 의미하는 라틴어 '리그넘(lignum)'에서
이름
을 땄다. 한 변의 길이가 약 10cm이며 무게는 1kg으로 작다. 개발 기간은 약 4년이다. 리그노샛은 ISS에 도착하면 한 달 뒤 우주로 방출돼 지구 상공 약 400km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나무 인공위성이 우주의 극한 ... ...
놀라운 인간의 능력…유아도 '가능·불가능' 개념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붙이고 아이들이게 외우도록 했다. 아이들은 얻는 것이 불가능했던 분홍색 장난감의
이름
을 더 잘 암기했다. 충격적인 사건이 대상을 기억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연구팀은 "아이들은 예상치 못한 상황을 겪었을 때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게 된다"며 "이러한 사고 과정을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연구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참고로 이 논문에는 영국 영화배우 콜린 퍼스가 저자로
이름
을 올렸습니다.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Manners maketh man)'는 명대사를 남긴 '킹스맨'의 주인공 콜린 퍼스가 맞습니다. 퍼스는 2010년 BBC 라디오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나갔을 때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의 뇌 ... ...
곤충 공생 박테리아에서 항생제 내성 결핵 치료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에 주목했다.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천연물 9종을 아레니콜라이드라고
이름
붙이고 분석을 통해 물질의 입체구조와 유전자군을 최초로 규명하고 합성 과정을 제시했다. 동물 모델 실험 결과 아레니콜라이드 중 아레니콜라이드A(Ar-A)는 기존 결핵균뿐 아니라 항생제 내성 결핵균에도 성장을 억제하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