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뉴스
"
이름
"(으)로 총 4,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27%가 암흑물질이며, 나머지 68.6%는 암흑에너지로 채워져 있다고 설명한다. 암흑물질은
이름
에서 추측할 수 있듯 빛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다. 오직 중력을 매개로만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암흑물질은 우주를 설명하는 한 가지 학설일 뿐이다. 아직까지 그 존재를 정확히 입증하지 못하고 ... ...
MS·구글 등 빅테크 명운 쥔 '탄소 먹는 공장' 가보니
SEIZE
l
2024.10.04
직접 포집하는 기술 '직접탄소포집(DAC)' 기업 '클라임웍스'가 운영하는 '매머드'라는
이름
의 공장이다. 클라임웍스는 5월부터 매머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탄소 포집 기기인 매머드는 내연차 약 7800대가 한 해 동안 내뿜는 탄소량과 맞먹는 3만 6000톤의 탄소를 매년 빨아들인다. ... ...
러시아와 협력 종료키로 한 세계 최대 실험실…"한국 분담금 소폭 늘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러시아 기관 소속 연구자 400~500명은 CERN 연구에 참여할 수 없고 앞으로 발표되는 논문에
이름
을 싣지도 못한다. 러시아 연구자가 빠지면서 CMS 검출기, ALICE 검출기 등 일부 프로젝트 진행에 다소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CMS 검출기는 LHC 실험을 통한 입자를 검출하는 기기 4개 중 하나다. 한국은 ... ...
아침에 고개 갸웃거리는 습관이 우울감 징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또 사용자의 표정을 해석해 기분을 파악하는 앱도 개발 중이다. '페이스파이(FacePy)'라는
이름
의 이 앱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해 표정이나 머리를 흔드는 행동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분석한다. 이러한 표현이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 상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피는 연구가 ... ...
[사이언스영상] 자기 몸의 4배 뛰는 로봇
SEIZE
l
2024.09.29
밝혔다. 로봇은 육각형 모듈로 레고처럼 조립해서 쓸 수 있다. 이 로봇 모듈의
이름
은 '헥셀(HEXEL, Hexagonal electrohydraulic modules)'. 유리섬유로 만든 육각형의 딱딱한 판 안에 전압에 따라 움직이는 소프트 액추에이터가 들어있다. 연구팀은 이를 '인공 근육'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전압을 가하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산 등반가들이 '비아그라'를 복용하는 이유
2024.09.29
뽀아죄유(Jean Léonard Marie Poiseuille, 1797~1869)가 처음 개발했다. 물리학과 공학에 그의
이름
을 딴 법칙으로 잘 알려져 있는 그는 의사면허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은을 이용한 압력계로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혈압이 의학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 혈관의 특성과 고혈압의 중요성 심장에서 ... ...
우주·양자 비밀 밝히는 1000조와트급 장치…"예산 삭감 탓 전기료도 빠듯"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바탕으로 다양한 우주 분야 연구를 본격화 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G-스페이스'라는
이름
의 연구 프로그램을 야심차게 준비했지만 최근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이 삭감되면서 이같은 계획은 일시 중단됐다. 고 소장은 "올해 국가 R&D 예산이 삭감되면서 일반사업과 우주국방 분야 사업이 다수 ... ...
"세균 잡는 바이러스, 항생제 대체하고 희토류도 정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박테리오파지 활용의 걸림돌은 대중 및 전문가들의 부정적 인식이다. 바이러스라는
이름
때문에 코로나19처럼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박테리오파지가 진화를 한다는 점에서 진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통제하지 못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 ...
항체에 잘붙는 '중대분자' 첫 개척한 GIST, 차세대 항암제 개발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단백질 의약품이 포함된 대분자 의약품의 중간에 위치한 분자다. 해외에서는 'BROS5'란
이름
으로 불리며 이미 그 개념이 도입됐지만 국내에서는 대응하는 용어가 없었다. '중대'라는 단어는 안 단장이 처음으로 붙였다. 이날 개소식에서 센터의 핵심기술을 소개한 안 단장은 "중대분자는 단백질에 ... ...
[과기원NOW] DGIST, 2025학년도 수시 경쟁률 이공계특성화대 중 2년 연속 1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4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의 창시자인 윌 반 데르 알스트 독일 RWTH 아헨대 교수의
이름
을 딴 센터다. 포스텍은 알스트 센터를 통해 알스트 교수의 프로세스·데이터 과학(PADS) 그룹 및 세계 유수 대학과 협력하여 데이터 과학과 프로세스 과학의 융합으로 다양한 산업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