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등알
알전구
진공관
혈소판
크리스마스전구
전등
뉴스
"
전구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이런 방식으로 벽돌 3개를 충전한 뒤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전구
와 연결했더니 10분간
전구
에 불이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전기 벽돌을 건물 외벽에 쌓고 태양광 패널과 연결하면 실생활에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태양광 패널 한 장과 같은 면적인 벽돌 50개 정도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아미노산 서열분석 작업에 뛰어든다. 생화학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해온 단백질의
전구
체인 아미노산 서열 정보는,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 외에도 서로 다른 종 간의 단백질 서열을 비교분석해 진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연구로 확장가능했다. 막스 델브릭 같은 물리학자들이 대거 생물학으로 ... ...
반딧불이 삼킨 개구리
팝뉴스
l
2020.07.30
개구리를 촬영했는데 뱃속에서 뭔가 빛나고 있다. 개구리가
전구
를 삼킨 것일까?
전구
가 전원에 연결된 상태되어야 빛날 수 있으니까 그 확률은 낮다.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개구리가 반딧불이를 삼켰다고 한다. 삼킨지 얼마되지 않아 반딧불이가 아직 빛을 내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 ... ...
"중국발 미세먼지+국내 오염물질→초미세먼지 배 이상 증가"
연합뉴스
l
2020.07.28
말했다. 국내 대기 정체 조건에서 국외 미세먼지의 장거리 유입과 국내 배출
전구
물질 축적의 복합상승효과에 의한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2012~2014년 서울 지역 초미세먼지를 측정일별로 해외 유입, 국내 대기 정체, ... ...
동해 불법 조업 주범 中 '암흑선단' 국제-위성-AI 공조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진출해 오징어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길이가 20m가 채 안 되고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전구
도 5~20개 정도밖에 없어 매우 장비가 열악하다. 중국 어선이 북한 동해에 진출해 오징어를 불법적으로 잡기 시작하면서 먼 바다까지 밀려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승호 씨 제공 실제로 최근 북한 어선 수백 ... ...
위성으로 동해 북측 수역서 불법조업한 중국 어선 1600척 추적...5260억원 규모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인공신경망이 쌍끌이 기선을 식별했다는 표시다. 플래닛랩스 제공 연구팀은 10~20m 크기에
전구
를 5~20개 단 어두운 소형 북한 어선이 러시아 연안에 진출해 오징어를 잡는 상황을 발견했다. 2018년에만 약 3000척이 이런 불법 조업에 나섰다. 이정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은 “길이가 50m에 첨단 ... ...
"코로나19, 몸 전체 크고 작은 혈관 막아"
연합뉴스
l
2020.07.13
뜻밖에 거의 모든 기관에서 혈전이 발견됐다. 특이한 점은 혈소판을 만드는
전구
세포인 거핵세포(megakaryocyte)가 뼈와 폐 밖으로는 돌아다니지 않는데 심장, 신장, 간 등 다른 기관들에서도 발견된 것이다. 특히 심장에서는 거핵세포가 혈전 형성에 밀접하게 관여하는 혈소판들을 만들어 내고 ... ...
낮은 전력으로 통신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개발한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결과, 스마트
전구
와 스마트 스피커 등 상용 스마트홈 기기와 상용 노트북에서 IoT 기기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값비싸고 전력소모량이 큰 기존의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의 한계를 무전원 ... ...
"뇌에 철분 쌓이면 치매 진행 빨라진다"
연합뉴스
l
2020.07.02
환자의 유전적 위험요인이 뇌의 철분 축적을 촉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뇌세포의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면 치매 위험이 높아지는 동시에 뇌세포의 철분 축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시 박사는 체내에서 과잉 철분을 제거하는 경구 약물인 ... ...
동북아 과학자들 2차 생성 미세먼지 기초부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2차 미세먼지 생성 과정 규명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여러 원인과
전구
체 물질 중 저감 비용 대비 미세먼지 생성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되는 물질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연구자 주도로 동북아 지역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 과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