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등알
알전구
진공관
혈소판
크리스마스전구
전등
뉴스
"
전구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플러그에 꽂으면 미세먼지 속 무기나노물질 위험성 판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연구팀의 설명이다.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박대훈 연세대 연구원(박사과정생)은 “
전구
체 용액을 사용하게 되면 열을 이용해 용액을 건조시키는 단계 등 4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이번에 개발한 합성 장치는 플러그를 꽂기만 해도 약 200nm 크기의 나노입자를 미세먼지 형태로 ... ...
리튬전지보다 안전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생산비용 40%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7
시장을 확대시키는 핵심 기술이 필요하다. 바나듐 전해액은 5가의 바나듐옥사이드
전구
체를 전기분해시켜 3.5가의 산화수로 환원해 만든다. 하지만 이 방식은 고가의 전기분해 장치가 필요한데다 에너지 소비가 크고, 전기분해 중 생성되는 높은 산화수 전해액을 재처리해야 해 번거롭다. ... ...
장내미생물 '원격' 신호전달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사이토카인은 혈액세포가 되기 전단계의 어린 세포인 조혈
전구
세포에 영향을 미쳐 그 수를 조절하거나, 백혈구와 대식세포 등 병원체를 먹어서 파괴하는 ‘미엘로이드’ 계열 면역세포들을 많이 만들어내도록 촉진한다. 그 결과 혈액세포가 많이 형성된다. 이 교수는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노인성 플라그(senile plaque)라는 이름을 붙였다. 뉴런의 시냅스에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라는 것이 모여 있는데, 세포막을 왔다 갔다 한다. 이 단백질의 한쪽에는 Aβ 펩타이드가 있다. 그런데 이 Aβ가 APP에서 떨어져 나가면 몇몇 효소가 분해를 시작한다. 이때 부서진 조각을 흔히 아밀로이트 ... ...
빛 쬐면 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암을 없앤다. 김광명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물질은 종양에 전달되기 까지는
전구
체 상태이지만, 종양에 도착한 뒤 레이저를 쬐어야 활성화한다"며 "적은 세기의 레이저로도 암을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어 차세대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PSA-NCAM 양성세포만을 분리시켜 암 발생률을 0에 가깝게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신경
전구
세포를 도파민 분비 세포로 분화시켜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김 교수는 "현재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 준비 중"이라며 "내년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있다. 연구팀은 HIV 치료제가 알츠하이머병 유발의 10%를 차지하는 원인 유전자인
전구
체 단백질을 재조합해 알츠하이머병을 막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전성 질환인 다운증후군에 대한 효과도 함께 알아냈다. 천 교수는 “역전사 효소 억제제를 복용한 미국 65세 이상 노인 수만 명 가운데 단 한 ... ...
플렉시블 CZTS계 태양전지 광전효율 첫 11.4% 달성…"세계 최고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효율이 10%를 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연구팀은 기존의 3층 구조 CZTS계 박막태양전지
전구
체를 다층 구조로 바꿔 전압 특성 및 균일도를 개선해 효율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연구팀은 11.4%의 효율을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플렉시블 CTZS계 박막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과학을 다룬 문헌에서 단골로 등장해 비난을 받는 사람이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이다.
전구
를 발명해 인류가 만성 수면부족으로 가는 길을 비췄을 뿐 아니라 잠을 충분히 자는 게 시간낭비라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줬기 때문이다. 실제 에디슨은 하루 4~5시간만 잤다고 한다. 그런데 그가 이렇게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철진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차세대 X선 튜브를 개발한 연구실엔 1998년 국내 최초로 탄소나노튜브를 수직배향(수직으로 합성)시킨 ... 이전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슷한 열음극 원리를 쓰는 백열
전구
, CRT, X선 튜브의 특성과 역사, 원리를 비교, 정리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