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간
중용
중앙값
중앙
뉴스
"
중위
"(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 섬 생긴 진짜 이유, 드디어 밝혀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나타내는 지도로 미세플라스틱이 대부분이고 해류의 영향으로 북반구와 남반구의
중위
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아래 파란색 점 하나는 100억 개를 뜻한다. 맨 아래 노란색 숫자는 1000t 단위다. - 네이처 제공 바다 근처에 사는 동물들이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 무심코 삼키는 일이 점점 더 많아지고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②] 캘리포니아 국립공원 산불, 火는 火로 잡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6.11.07
미국 시민전쟁 당시 장군이었던 윌리엄 셔먼의 이름을 땄다고 합니다. 셔먼 장군 밑에서
중위
로 있던 박물학자인 제임스 울버톤(James Wolverton)이 1879년 이 세쿼이아에 제너럴 셔먼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리고 1931년 제너럴 셔먼 트리는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라는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현재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식물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실제 두 식물의 분포를 보면 저위도에서 C4 식물이 우세하고
중위
도, 고위도에서 C3 식물이 우세하다. 1966년 당시 호주 콜로니얼제당주식회사의 연구원 할 해치와 로저 슬랙은 학술지 ‘생화학 저널’에 C4 광합성의 존재를 명쾌히 규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두 사람은 5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나타내는 지도로 미세플라스틱이 대부분이고 해류의 영향으로 북반구와 남반구의
중위
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아래 파란색 점 하나는 100억 개를 뜻한다. 맨 아래 노란색 숫자는 1000t 단위다. - 네이처 제공 ● 이미 영향 주는 걸로 보여 학술지 ‘사이언스’ 6월 3일자에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실제 ... ...
“지구온난화-자연변동 둘 다 맞다”
2016.09.02
중 어떤 것이 기상 이변의 원인이냐는 질문은 잘못된 것”이라며 “그보다 어떤 것이
중위
도 한파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느냐고 질문하는 편이 더 낫다”고 말했다 ... ...
스스로 차로 지키고 추월도 척척… 똑똑한 AI 드라이버
동아일보
l
2016.04.20
내달렸다. TV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서 운전하던 서대영 상사(진구)가 윤명주
중위
(김지원)에게 다가가려고 운전대에서 손을 뗐던 장면이 실제 벌어지는 순간이었다. 다만 10초 정도 지나자 ‘운전대를 잡으라’는 경고 메시지가 계기반에 떴다. 이 차는 운전자가 손을 완전히 떼고 다니는 완성형 ... ...
유시진 대위도 과학동아 읽지 말입니다!
과학동아
l
2016.03.31
후예’ 11화에 과학동아 콘텐츠가 등장했습니다. 의료진이 모여 윤명주(김지원 분)
중위
가 감염된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는 장면입니다. 의료진이 주의깊게 살펴보던 그래픽은 2014년 9월호 ‘에볼라’ 특집기사에 실린 인포그래픽인데, 에볼라 발병 역사부터 치료법, 증상, 감염경로 등 ... ...
똑같은 ‘슈퍼 엘니뇨’라는데, 올해는 왜 더 추울까
2016.01.20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해빙이 많이 녹을수록 극 소용돌이가 약해지면서 새어 나온 냉기가
중위
도에 한파를 불러온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1979년부터 쌓아온 북극 해빙 관측 자료를 분석해 얻은 결과다.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다량 ... ...
올해 첫 한파… 원인은 북극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1.19
그 안에 갖혀있던 북극의 찬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와
중위
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위
도에 있던 ★ 지역은 순식간에 한파가 불어닥친다. - 과학동아 이시은 제공 ☞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다면 디라이브러리에서 원본 기사를 읽어보세요. (유료) [과학동아 2014년 10월호] 겨울 한파 미스터리 ... ...
지구촌 문화 체계 흔들린다… ‘슈퍼 엘니뇨’가 의미하는 것들
2015.12.27
발생한 1997년 당시 만큼 높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12월 중순. 지구 북반구
중위
도권 국가라면 한 겨울 날씨 속에 눈과 함께 크리스마스를 맞이해야 정상이다. 하지만 올해는 유독 겨울 답지 않은 날씨가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해마다 겨울이면 사람들이 몰려 스케이트를 즐기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