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간
중용
중앙값
중앙
뉴스
"
중위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
2025.04.02
커진다. 생체시계는 같은 경도에서 동일한 낮의 중심보다 일출 시간에 더 민감하므로
중위
도 지역에서는 서머타임 실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왕립학회열린과학 제공 유럽과 특히 미국은 서머타임 기간이 너무 길어 전환기의 부작용이 더 커진 결과를 낳았다. 원래 낮 12시간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 ...
제주도 과거 건조? 4200년 전 한라산 흙으로 가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제주도가 과거 매우 건조한 상태였다는 기존 가설을 뒤엎는 결과다. 한반도가 있는
중위
도 대류권 상층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바람인 '서풍 제트'가 제주도 강수량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현대 동아시아의 기후변화도 서풍 제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구 결과가 ... ...
사행 제트기류로 기습 한파…"지구온난화로 흔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남북방향으로 심하게 굽이치며 북극 지역의 찬 공기가
중위
도로 쏟아져 내려오기도 하고
중위
도 지역의 따뜻한 공기가 북극으로 올라가기도 한다"라고 했다. 길게는 1개월 이상 이어지는 블로킹으로 인해 한파가 발생하면 다른 한파에 비해 오래 간다. 블로킹은 지구온난화 영향을 받는 라니냐 ... ...
영구동토층 녹으면 농작물에 치명적 병원균 깨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속의 균주들은 감자 무름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슈도모나스 속 균주는
중위
도 지역에서 과일, 채소 등을 감염시키는 병원균으로 알려졌다. 이번 실험으로 북극 툰드라의 전이층과 영구동결층에서도 존재가 확인된 것이다. 연구 결과 슈도모나스 속 균주들은 저온에서 개체 수가 적고 ... ...
"LA 산불·뉴욕 폭설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주요 원인으로 적도 서태평양 온난화로 강화되는 대류 시스템을 지목했다. 연구팀은
중위
도 서풍이 강해지면서 북쪽으로 확장되는 현상이 대기의 대규모 흐름을 증폭시키는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강화된 서풍은 적도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파동에너지를 북동쪽으로 전파시키는 ... ...
의료비 지원되는 희귀질환 66개 늘어…총 1337개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지원사업으로 10%를 보조 받는다. 의료비 지원 기준은 국민 평균 가구소득인 ’기준
중위
소득‘ 120% 미만인 성인과 130% 미만인 소아 희귀질환자에서 연령 상관없이 일괄 140% 미만으로 완화된다. 또 의료비 지원 신청 시 희귀질환명이 주상병으로 명시된 진단서만 그동안 인정했다면 ... ...
2040년 더 강해진다…"열대야 몰고온 한반도 바다 고수온, 내후년 끝날듯"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태평양 10년주기진동(PDO)’이 음의 상태이기 때문에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PDO는
중위
도 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약 10년 주기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북반구 태평양 지역 해수면 온도에 특정 함수를 적용해 산출한다. PDO가 음의 패턴을 보일 때 북서태평양 북동태평양 연안의 해수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英 석탄 퇴출, 섣불리 흉내 낼 일 아냐
2024.11.06
에너지 전환은 최악의 에너지 빈국(貧國)인 우리가 섣부르게 흉내 낼 일이 아니다.
중위
도 지역에 위치한 우리에게는 태양광·풍력·수력 자원도 그림의 떡인 것이 명백한 현실이다. 오히려 천연가스와 신재생의 유혹에 빠져버린 영국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던 자신의 원전 기술을 잃어버렸다는 ... ...
머스크가 잃은 위성, 태양 재채기 '태양폭풍'이 주범
과학동아
l
2024.09.28
태양폭풍이 지구에 도달하면서 오로라를 쉽게 관측할 수 없었던 일본, 체코, 스페인 등
중위
도 지역의 국가에서 오로라가 관측됐다. 사진은 이날 체코 프라하에서 관측된 오로라 2024년 5월 전 지구에 폭풍이 닥쳤다. 극대기를 맞아 활발히 활동하던 태양이 5월 8일 지구를 향해 플라즈마로 된 '재채기 ... ...
2100년엔 산성화된 바다로 바캉스 떠난다
과학동아
l
2024.08.31
붕괴로 소빙하기가 온다면 극지방 주변, 고위도 부근의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것"이라며 "
중위
도 지방은 매우 건조해져 가뭄 등의 피해가 심해질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시원한 곳으로 바캉스를 떠나는 2024년과 달리 2100년 고위도 지역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더 따뜻한 바다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