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혼화
믹스
합성
조립
화합
섞기
뉴스
"
혼합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혁신도전형 R&D, 결과 아닌 과정으로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IRIS)에 반영하고 이르면 11월 앞으로(APRO) R&D 사업 중 하나인 보건복지부의 ‘자폐
혼합
형 디지털치료제 사업’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IRIS에는 앞으로(APRO) 과제에 대한 평가등급 작성항목이 제거되며 의견 제시 항목이 마련된다. 임요업 과학기술혁신조정관은 “앞으로(APRO) 고위험, 고난이도의 ... ...
세계 최초 달 뒷면 샘플 채취한 中, 첫 연구논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두 개인 '이봉 분포(bimodal distribution)' 형태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는 입자가 여러 곳에서
혼합
됐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중국매체 보도에 따르면 샘플에는 달의 화산 활동 역사를 기록한 현무암뿐만 아니라 비(非)현무암 물질도 다수 포함된 사실이 드러났다. 주요 구성 물질은 ... ...
초고가 GPU 없어도 효율적 AI 학습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모델을 학습하는 새로운 기술도 발표했다. 최신 거대 언어 모델의 기반이 되는 전문가
혼합
형 모델을 제한된 메모리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에 32~64개 GPU가 필요한 150억 파라미터 규모의 언어 모델을 단 4개의 GPU만으로도 학습할 수 있게 됐다. 이를 ... ...
월성 4호기 냉각수 누설 사고 예상피폭량 "연간한도 0.000039%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수위 감소까지 포함해 계산한 결과다. 누설된 냉각수 2.45t은 기기 냉각용 해수 1만8956t과
혼합
돼 방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냉각수의 방사능량을 평가한 결과 삼중수소는 최대 13GBq(기가베크렐), 베타·감마핵종은 0.283MBq(메가베크렐)로 평가됐다. Bq(베크렐)은 방사능 활동량을 나타내는 표준 ... ...
이산화탄소로 지속가능한 '항공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도입했다. 먼저 나트륨(Na)과 산화철(Fe3O4)이 조합된 촉매로 이산화탄소를 탄화수소
혼합
물로 만든 뒤 새로 개발한 촉매인 '플래티넘 텅스텐-지르코니아(Pt/WO3-ZrO2) 촉매'를 활용해 이소파라핀 생성을 촉진했다. 2단계 촉매 반응을 통해 지속 가능한 항공유로 쓰이는 이소파라핀을 생성하는 과정. UNIST ... ...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성종·이강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이용해 제거하면서 동시에 질소 산화물이 제거되도록 요소수를 분사하면서 배기가스와
혼합
하는 장치다. 박 엔지니어는 “지난 15년 동안 축적한 기술 역량과 연구 결과를 결합시켜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국내 조선해양업이 독보적인 기술 ... ...
나노물질로 뇌전증 진단·망막질환 치료 부담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물질인 몰리브덴 디텔루라이드(MoTe2)와 텅스텐 디텔루라이드(WTe2)
혼합
물을 분석 시료에 투여한 후 레이저로 이온화하자 진단 약물의 검출 속도와 민감도가 크게 높아졌다. 뇌전증 환자 120명의 시료를 연구진이 개발한 진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기존 진단법 대비 99.9% ... ...
전문인력 양성해 수소폭발 위험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했다. 수소는 대표적인 청정에너지원으로 꼽히지만 취급 과정에서 산소와
혼합
되면 불이 붙거나 폭발하는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안전한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면 기술개발 외에도 관련 기업 및 인력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돼야 ... ...
고기후 연구는 인류 진화의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24.08.24
노력했습니다." 팀머만 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알타이 산맥, 사르마틱
혼합
림, 이베리아 반도 등 북유럽 및 중앙아 아 지역에서 공존 시기 중 최소 6번의 상호작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고인류학 교과서를 다시 쓴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doi: 10.1126 ... ...
빗방울·손씻기로 전기 만든다…'도미노 원리' 활용한 나노 발전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면적이 넓고 유연하다. 연구팀은 실리콘 탄성체와 불소(F)가 포함된 고분자 탄성체를
혼합
해 TENG 소자를 제작했다. 물방울은 소자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도미노 구조를 따라 쉽게 굴러갔다. 물방울 하나로도 전기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오염 물질도 잘 붙지 않아 깨끗한 상태를 오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