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십이인연
인연
ship
접속 설정 프로토콜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스페셜
"
십
"(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돼 신약 개발의 한고비를 넘겼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독액에서 치료제를 찾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아직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청자고둥의 경우 독액을 지닌 700여 종에 들어있는 펩티드가 10만여 가지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실체가 확인된 건 0.1%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과 동물은 각각 한 차례 다세포성이 진화한 결과이고 균류는
십
여 차례 독립적으로 다세포성이 진화했다. 따라서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해 알고 싶으면 식물이나 균류를 연구하는 것보다 진화적으로 동물과 가장 가까운 생명체를 들여다보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
2018.02.24
마시멜로우나 갓 구운 쿠키를 보여주고 ‘조금 기다리면 하나를 더 주겠다’고 했을 때
십
분여를 더 기다렸다가 하나를 더 받는 아이와 그렇지 않고 바로 먹어버리는 아이들 사이에 이후 성적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던가, 일반적으로 자기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개들이 둘러싸고 있다. 오른쪽에 또 다른 사냥꾼이 역시 활로 암말을 겨누고 있고 개
십
여 마리가 사냥감을 향해 포진해 있다. 암말과 새끼의 입장에서는 절망적인 상황이다. 이 그림에서 주목할 장면은 개 세 마리가 목줄로 사냥꾼과 연결돼 있는 모습이다. 즉 사냥꾼은 목줄을 허리에 묶은 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선집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를 보면 나팔꽃이 등장하는 시가
십
여 편이나 된다. 글 맨 앞에 인용한 하이쿠 두 수도 이 책에서 뽑았다. 일본어로 나팔꽃은 ‘아사가오(アサガオ, 朝顔)’, 즉 아침얼굴로 영어 morning glory와 통하는 데가 있다. 아무튼 일본 원예가들은 나팔꽃을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내 몸이 만드는 심장 박동, 숨 쉬는 소리에 집중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이렇게
십
여분 정도만 잠깐 마음을 비우고 현재에 머무르게 하는 것 만으로 성과가 향상되고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부정적 정서가 가라앉고 마인드 컨트롤을 잘 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Eberth & Sedlmeier, 2012).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많은 곳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발전기를 세울 곳이 마땅치 않다. 필자는
십
수 년 전 대관령에 놀러 갔다가 풍력발전기를 처음 보고 두 번 놀랐는데 생각보다 너무 컸고 너무 시끄러웠기 때문이다. 남은 건 태양광인데 우리나라는 일조량도 많지 않고 (요즘 같은 장마철에는 며칠 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영토병합 전쟁이 본격화했다. 그 결과 공자가 살았던 기원전 500년 무렵에는 나라가
십
여 개로 줄어들었고 기원전 403년 전국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국 칠웅’이라고 해서 일곱 개 제후국이 자웅을 겨뤘다. 기원전 221년 마침내 진나라가 패권을 차지하면서 중국 최초의 통일제국을 건설했다. 따라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 - 동아일보 제공 ● 쌍둥이도 얼굴 측정해보면 차이 작지 않아
십
여 년 전 이 책을 읽을 때 이 부분에서 깊은 인상을 받은 필자는 누군가와 닮은 사람을 볼 마다 이 구절이 생각났는데 이날도 그랬던 것이다. 아무튼 그 뒤 종종 이 드라마를 보곤 하는데 어느 날 문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 Carla Vilarasau/the Pau Costa Foundation 제공 ● 원주민의 지혜에서 배운다 그런데 최근
십
여 년 동안 엘니뇨현상 등 급격한 기후변화로 고온과 가뭄이 지속되면서 미 서부와 호주, 동남아, 심지어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에서 대형 산불이 일어나는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산불 정책도 무조건적인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