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십"(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 - 동아일보 제공 ● 쌍둥이도 얼굴 측정해보면 차이 작지 않아 십여 년 전 이 책을 읽을 때 이 부분에서 깊은 인상을 받은 필자는 누군가와 닮은 사람을 볼 마다 이 구절이 생각났는데 이날도 그랬던 것이다. 아무튼 그 뒤 종종 이 드라마를 보곤 하는데 어느 날 문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 Carla Vilarasau/the Pau Costa Foundation 제공 ● 원주민의 지혜에서 배운다 그런데 최근 십여 년 동안 엘니뇨현상 등 급격한 기후변화로 고온과 가뭄이 지속되면서 미 서부와 호주, 동남아, 심지어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에서 대형 산불이 일어나는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산불 정책도 무조건적인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관계성이 나오는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경로는 때때로 이에 관여하는 분자가 수 십 개씩 변하기 때문에 모델링을 해서 시뮬레이션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믹스 간 관계성 탐색부터 전체적인 시스템 차원에서의 생물학적 분석까지 가능해진 것이다. 시스템 생물학을 질환에 적용한 첫 사례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간다. 다만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경로가 차단돼 있어 몸이 따라가지는 않는다. 지난 십여 년 동안 과학자들은 각성과 수면 과정, 비렘수면과 렘수면에 관여하는 뇌의 회로를 밝혀내는데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예를 들어 기저전뇌(basal forebrain)에는 각성 뉴런을 억제하는 수면 뉴런이 존재하다. ...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2016.08.01
- 엄연히 도핑검사 목록에 있는 약물이었다(소변 1밀리리터 당 12마이크로그램으로 커피 수 십 잔을 마셨을 때 양). 그러나 2004년 금지 약물 목록에서 제외됐는데, 카페인의 함량이 기준치보다 훨씬 낮을 때 최고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인 측면이 크다. 카페인의 효과는 마라톤이나 사이클처럼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과학저널리스트 루바 비칸스키가 쓴 일리야 메치니코프의 전기 ‘Immunity’를 읽었다. 십여 년 전 국내 한 요거트의 브랜드가 되면서 사람들에게 친숙한 과학자가 된 메치니코프는 1916년 7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영면했다. 이번 주 금요일은 그의 100주기인 날이다. 비칸스키의 전기 내용을 토대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이르렀다. 오늘날 성형수술을 대표하며 널리 쓰이는 보톡스 주사도 알고 보면 그 역사가 십여 년에 불과한 것이다. 하지만 모든 약에는 부작용이 따르는 법이다. 보톡스 역스 알레르기반응을 비롯해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고, 특히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시술해 용량을 제대로 지키지 않을 ...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주관으로 차세대 선박 건조 사업을 진행했다. NMRI는 그 사업의 일환으로 ‘슈퍼에코십 지원센터’를 운영했다. 당시 연구진들은 일본의 이전 선박보다 CO2 25%, NOx 90%, SOx 60%를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 추진설비를 제작하는 이론적 기반을 확립했다고 발표했다. 10여 년이 지난 최근에도 온실가스를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2016.01.05
- 환자들로, 색스는 이들에게 L-도파라는 파킨슨병 치료제를 투여했고 놀랍게도 이들은 수십년 만에 깨어났다. 이때의 경험을 쓴 책이 ‘깨어남’(1973년)이다. 러시아의 저명한 신경심리학자 알렉산더 루리아는 이 책을 읽고 색스에게 편지를 보내 격려하며 환원주의 현대의학에 밀려 사라진 신경학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년 전부터 해 온 ‘키워서 먹는다’는 개념이 바다에 대해서는 없던 것이지요.” 불과 십수 년 전까지만 해도 바다에서 잡아올리는 물고기들은 마르지 않는 것만 같았다. 그러나 남획이 계속되면서 연안에서 보기 힘든 어종들이 많아지고 있어, 어민들의 시름을 깊게 하고 있다. 다행히도 시작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