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행복"(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2021.04.29
- 한마디로 관성력과 중력이 동등하다는 원리이다. 아인슈타인은 훗날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the happiest thought of my life)이었다"고 회고했다. 관성력이란 가속 운동 때문에 생기는 가상의 힘이다. 버스가 갑자기 출발하면 몸이 뒤로 젖혀진다거나 모퉁이를 돌 때 바깥으로 쏠리는 것은 우리 몸이 ... ...
- 달 밟는 대신 궤도 남아 아폴로11호 사령선 지킨 마이클 콜린스 별세 동아사이언스 l2021.04.29
- 뒷면에서 지구와 교신이 끊겼을 때 외롭다고 느끼지는 않았다”며 “컬럼비아는 내게 행복한 집과 같았다”고 회상했다. CNN에 따르면 그는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달 착륙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뒤 도킹했을 때 얼싸안고 축하부터 하고 싶었지만, 지구 귀환이 먼저여서 쉽지 않았다. 그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도 ‘양’보다 ‘질’2021.04.24
- 불구하고 오랜 기간 곁에 남아주는 사람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또 서로의 행복을 위하는 마음으로 그 사람이 내게 있어 그러하듯 나 또한 상대에게 있어 좋은 친구로 남고 싶다는 마음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관련자료 Si, K., Dai, X., & Wyer, R. S., Jr. (2021). The friend number paradox. Journal of ...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2021.04.18
- 있다. 동아사이언스에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와 질병'을 연재했다. 번역서로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마음으로부터 일곱 발자국》,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과로를 통제하지 못했을 때2021.04.10
- 이득을 넘어서지 않는 최적의 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런 점에서 만년 행복도 꼴찌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 사회는 목표 설정과 실행, 조정 과정에서 근본적으로 실패한 사회일지도 모르겠다. 미국 듀크대 심리학자 마크 리어리 교수와 '정확한 계기판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를 ... ...
- [인간 행동의 진화]새로운 관계를 추구하지 않는 사랑2021.04.04
- 있다. 동아사이언스에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와 질병'을 연재했다. 번역서로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마음으로부터 일곱 발자국》,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어차피 인생은 혼자 사는 거라고 정말 그렇게 믿는가 2021.04.03
- 한다고 생각했다. 만약 사랑과 인정에 대한 욕구가 적다면 그 욕구가 채워졌을 때 느끼는 행복감 또한 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배가 많이 고프지 않고 사실 꽤 채워져 있는 상태라면 음식을 먹었을 때 허기가 해소되는 진한 만족감이 없어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실제로 그런지 알아보기 위해 ... ...
- [의학바이오게시판]'만원의 행복 충전' 기부운동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26
- 윤동섭(왼쪽) 연세의료원장. 연세의료원 제공 ■연세의료원은 지난 2일부터 ‘만원의 행복 충전’ 행사를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기부운동이다. 참가자가 신용카드로 1만원을 기부한 ...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2021.03.20
- 있다. 동아사이언스에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류와 질병'을 연재했다. 번역서로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마음으로부터 일곱 발자국》,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노년을 행복한 삶으로 받아들이려면2021.03.13
- 어디까지나 나이며 나이든 나를 최대한 즐겁게 살아보겠다고 생각하는 태도가 실제로 행복한 노화를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문제를 싫어해서 문제가 없어지면 좋겠지만, 되려 문제란 원래 싫어해서 자꾸 생각할수록 더 커지는 법이다. 반대로 이런 나와 별로 반갑지 않은 내 삶의 부분도 얼마든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