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스페셜
"
회보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10억 마리에 이르고 닭은 무려 190억 마리가 살고 있다. 최근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불과하다. 새도 가금(주로 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동물의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따라서 군체는 형성할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됐다. 뤽 도용 프랑스 보르도대 연구원팀은 학술지 미국공공도서관
회보
에 발표한 논문에서 “수십만 년 전 동아시아에 인류가 살았으며, 이들에게도 (그 동안 다른 지역의 전유물로 여겨진) 정교한 도구 제작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호모 사피엔스와의 ‘문화’ 경쟁해서 패배해 사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여기서 ‘문화’란 소통 능력, 사냥 기술, 환경에 대한 적응력 등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유대감과 소통 능력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같은 색을 대응시킨 반면(왼쪽) 비공감각자는 일관성이 없다(오른쪽) -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그 결과 가계11의 공감각자들에서 변이 유전자 12개, 가계16에서 8개, 가계2에서 17개를 찾았다. 놀랍게도 이 가운데 단 하나도 겹치지 않아 세 가계의 변이 유전자가 37개에 이른다. 즉 소리-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 미국립과학원
회보
제공 ● 과학을 너무 기대하지 마세요 2015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에는 유럽계(백인) 중년(45~54세) 미국인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21세기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뜻밖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1999년과 2013년 사이 사망 원인의 변화를 들여다보면 알코올을 비롯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처리하는 인지 과제에 따라 노드 사이의 네트워크의 활동 패턴이 바뀐다. - 미국립과학원
회보
제공 인간 뇌의 커넥톰을 완전히 규명하는 것은 아직은 먼 목표이지만 뇌를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은 보편화됐다. 최근 과학자들은 뇌의 활동 패턴을 네트워크 모형의 하나인 그래프 이론(grap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제공 ● 이버멕틴, 항암 칵테일 요법에 활용될 듯 한편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 8월 29일자에는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에 빛나는 구충제 이버멕틴이 난소암에 대한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휴스턴감리교도연구소와 일본 오사카대 등 공동연구자들은 난소암에 관여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믿고 있었기 때문에 이 발견은 충격이었다. 두 사람은 197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에 실은 논문에서 “우리가 찾아낸 서로 전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세 가지 일주리듬 돌연변이체가 동일한 유전자에 문제가 생긴 결과라는 건 놀라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둘은 이 유전자를 ‘period(주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오른쪽은 플라스틱 조각을 집으로 쓰려고 하는 소라게의 모습이다. - 미국립과학원
회보
제공 ● 플라스틱 제조 누적량은 83억 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19일자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의 양과 현재 상태를 추정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롤랜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