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항암 방해 핵심인자 찾았다…폐암 새 치료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왼쪽부터) 이정은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석사, 조광현 교수, 공정렬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 KAIST 제공. 면역항암치료를 방해하는 핵심인 ... 실험검증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2일자에 게재됐다. doi.org/10.1073/pnas.241231012 ... ...
[동물do감] 박쥐가 떼지어 날아도 충돌하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않는 이유를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3월 3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에 공개됐다. 박쥐는 주변 장애물이나 먹이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초음파를 사용한다. 입으로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인 반향음을 인지해 주변 물체까지의 거리, 물체의 이동속도 등을 동시에 ... ...
NASA 로버 큐리오시티, 화성서 역대 가장 큰 유기분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CNRS) 연구원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에 공개됐다. 큐리오시티는 2013년 5월 화성 게일 크레이터에서 시추한 암석 샘플인 '컴벌랜드'를 큐리오시티에 내장된 화성샘플분석(SAM) 미니 실험실에서 가열해 분석했다. 컴벌랜드는 다양한 실험 기법을 사용해 ... ...
[동물do감] 뗏목 타고 태평양 8000km 횡단한 피지섬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방식으로 건너갔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연구결과는 17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에 공개됐다.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은 바다를 건너 새로운 섬이나 대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종이 만들어지는 등 생물다양성이 확대된다. 대형 초식동물인 이구아나는 바다를 건널 수 ... ...
탄소 흡수력 높인 미생물 나올까…광합성 미생물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https://doi.org/10.1073/pnas.2415072122 ... ...
'이곳'에선 이어폰 없어도 혼자 음악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소리의 진행 방향을 구부러지게 하는 메타표면을 렌즈처럼 활용해 2개의 특수한 초음파 발생기를 설계했다. 메타표면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물성을 구현한 표면 구조를 말한다. 두 ... ...
항생제 내성도 일으키는 미세플라스틱...광합성 방해 영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중국 난징대 연구팀은 10일(현지시간)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지구 생태계의 광합성을 감소시켜 농작물과 수산물 생산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이 방출하는 미세한 입자는 식물의 잎에 도달하는 햇빛의 ... ...
몸집 클수록 암 발생률 높다…'페토의 역설'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에 공개됐다. 1977년 영국 통계학자이자 전염병학자인 리처드 페토는 어떤 유기체의 세포 수와 암 발생률과 상관관계가 없다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페토의 역설'을 발표했다. 발암 가능성이 세포 전체에서 ... ...
비버, 사람 대신 '18억 규모 댐' 지어…지형 바꾸는 동물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캐나다에 850m 길이의 초대형 댐을 지은 비버나 한국 영토보다 넓은 군락을 만든 흰개미 등 자연에는 뛰어난 동물 건축가들이 존재한다. 연어는 산란기 대이동 과정에서 홍수와 비슷한 ... ...
고분자 응집력 강화하는 법, 홍합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6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온라인 게재했다고 11일 밝혔다. 음이온-π 상호작용은 음전하를 띤 분자(음이온)와 방향족 고리의 π 전자계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공유 결합이다. 효소의 촉매 작용이나 이온 수송 등 생물학적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