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d라이브러리
"
비행기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자들과 함께 만든 우리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의 설계가 한창이던 1991년 6월. 필자는 영국행
비행기
안에서 많은 생각에 잠겼다. 우리 손으로 꼭 인공위성을 만들겠다고 다짐한 지 3년, 이를 위해 10여명의 학생들이 서리대학에서 위성교육을 받고 영국의 위성제작에 직접 참여해 경험을 쌓던 때였다. 막상 우리 ... ...
2. 물질의 반응성-생활 속 소재탐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바로 제트엔진의 원리다. 엔진의 뒤쪽에서 배출된 뜨거운 기체가 공기를 밀어내면서
비행기
가 앞으로 전진한다. 불의 삼각형과 내화재 불을 피우려면 필요한 세가지 조건이 있다. 연료 산소 열(온도)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삼각형 안에 재미있게 표현한 것을 ‘불의 삼각형’이라고 한다(그림3).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역시 바람을 안고 착륙한다. 이는 여타의 항공스포츠는 물론 엔진 동력을 이용하는
비행기
도 마찬가지다. 하늘을 나는 탈 것이 맞바람을 맞는 이유는 간단하다. 양력을 받기 위해서다.비행체를 향해 부는 바람을 정풍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배풍(背風)이라 하는데, 배풍으로는 비행체가 양력을 받지 ... ...
군부와 경영진 전폭 지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당시의 특수한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서 '운 좋게' 선택됐을 뿐이다.자동차 헬리콥터
비행기
등 복잡한 기계들이 20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되면서 정밀한 금속절삭과 기계가공이 필요해졌다. NC 기계는 이런 배경에서 개발돼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 기계는 제어장치 동작검출부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있는 메뉴 중 하나를 마우스로 골라본다. 1. 동화 듣기가운데의 처음화면에서는
비행기
창밖으로 보이는 새들을 잡아 귀엽게 색칠하거나 잠수함 밖에서 움직이는 물고기들을 선택해 색을 칠한다. 여기서는 차창 밖으로 보이는 팻말들을 예쁘게 색칠해본다.꼬마피카소에는 두 편의 동화가 들어있다. ... ...
5. 고전적인 지하자원 탐색기법 다우징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지정하기 위해
비행기
를 타고 중국과의 국경지역인 킬그키츠 전역을 탐색했는데,
비행기
가 커다란 강물 위를 비행할 때 탐사막대는 아무런 진동이 없다가 강변쪽으로 다가섰을 때 비로소 진동이 오기 시작한 것. 결국 이 방법으로 소체바노프 일행은 키르키즈 전역에 대한 새로운 지질탐사도를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이러한 현상을 백시현상(whiteout)이라고 하는데, 남극에서는 이런 현상이 잘 일어난다.
비행기
나 헬리콥터가 빙원에 충돌하고 심지어 새들이 설면에 부딪치는 수도 있다. 사진은 남극토박이 제비갈매기.3 얼음도 가지가지남극에서 얼음을 부르는 이름으로 빙상 빙모 빙하 빙붕 빙산 빙해 등이 있다.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비행기
의 이착륙 계획이 예정과 틀리기 일쑤여서 우리는 2일 정도의 예비 시간을 두고
비행기
운항에 대비했다. 불안과 초조함이 밀려오는데도 그곳은 평온하기만 했다. 군용 수송기에 탑승해 2시간반 정도 엔진소음을 견뎌내다 보니 세종과학기지가 있는 남극 대륙의 북단 킹조지섬에 도착했다.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거의 없다는 의미다.
비행기
가 공기 중에서 초속 3백40m 이상의 속도로 진행하면
비행기
앞부분에 존재하는 공기 분자가 빠져 나갈 사이가 없어 공기분자는 계속 누적된다.이렇게 되면 충격파를 내고 심할 경우 빌딩의 유리창이 깨지기도 한다. 그런데 UFO 목격자의 진술에 의하면 UFO는 아주 낮게 빠른 ... ...
PART Ⅲ. 참선에서 공중부양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비행기
가 공중을 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해 보일 것이다. 사실 지금부터 약 90년 전만 해도
비행기
란 불가능했지 않은가. 공중부양이 물리법칙과 모순돼 보인다면 다만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법칙들과 모순돼 보일 뿐이다.옛부터 요가 수도자인 요기(yogi) 또는 성인들은 “사람의 의식상태가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