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합의하는 것이 원칙이다. 교신저자는 전체 논문의 아이디어를 내고 전반적인 데이터를 점검하며, 논문작성의 방향을 제시하는 등 전체를 진두지휘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논문상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만드는 데 기여한 사람은 제1저자가 된다. 만약 연구책임자가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정 교수는 “외국에서는 교수의 정년보장(테뉴어) 심사 등에 저서나 강연 활동을 일정 점수로 인정해주는데, 아직 한국은 그런 제도가 부족하다”고 답했다.앞서 정 교수는 과학이 아주 재밌는 영화라 비유했지만, 과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편견에 쉽게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그는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농도차를 인식해 그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준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또 성장 원추는 세포막에 위치한 안내 신호만으로도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습니다. 보통 목적지로부터 퍼져나오는 안내 신호에 따라 축삭의 성장 원추가 자랄 수 있는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공간에서 시신이나 증거물의 위치를 찾을 때 ‘좌표’를 이용해요. 좌표는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에요. 공간을 일정하게 나누고 수로 위치를 표시하면, 현장에서 증거물을 찾기 수월해져요. 금융전문가 │‘수학’으로 한 걸음 앞을 내다봐요물가 분석 연구원은 물건을 만들 때 ...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찾느라 계획보다 늦게 착륙을 하기도 했습니다. 적절한 착륙 위치를 찾았을 땐, 이 지점이 너무나도 좁은 영역이라 하야부사 2호를 조종하는데 정교한 계산이 요구되기도 했지요. 또, 하야부사 2호가 지구 궤도로 돌아와 무사히 샘플을 착륙시키기 위해 궤도를 무척 많이 수정해 힘들었습니다.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않고 온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유해 주변에서 숯이 발견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해는 500℃ 이상의 뜨거운 화산재에 파묻혀 녹은 뒤 빠르게 식으며 그대로 유리처럼 변했고, 그 결과 뇌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배열이 변형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이처럼 자연에서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주황으로만 칠해야 합니다. 그런데 R(3,3)=6에서 확인한 것처럼 빨강으로 이어진 6개 점 사이를 파랑과 주황으로 칠한다면 파란 삼각형이나 주황 삼각형이 반드시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R(3,3,3)≤17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 확률까지 도입한 에르되시그렇다면 크기가 매우 큰 완전그래프를 ... ...
- [매스크래프트] #14. 수학으로 표현한 사랑방정식, 나의 마음을 받아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타내는 식에는 절댓값을 사용했습니다. 절댓값은 좌표로 나타낸 공간에서 0부터 어떤 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해요. 그래서 절댓값 -5를 뜻하는 |-5|는 0부터 -5까지의 거리이므로 5가 뜻하는 |-5|는 0부터 -5까지의 거리이므로 5가 되죠. 문자를 사용해 절댓값을 표현해볼까요? 만약 |a|가 있을 때, a가 ... ...
- 얼마나 알고 있니? 혐오표현 영역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당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문제는 인터넷을 통해 혐오표현이 더욱 빠르게 퍼진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최진호 한양대학교 컴퓨테이셔널 사회과학연구센터 연구원과 이승선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얼마나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큰 장점은 누구나 과학자가 될 기회를 제공하고 과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높인다는 점이다. 반드시 실험실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전문 장비가 없더라도 최신 연구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도 코로나19 사태에 시민과학이 새로운 형태의 연구방법으로 활발히 활용되는 이유다. 늘어난 집콕, 더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