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접는 방식에 따라 원기둥 간의 거리와 각도가 달라지는 소음 차단벽을 만든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7분의 1 축소 모형 실험 결과, 새롭게 개발한 소음 차단벽은 접는 방식에 따라 소음 차단 효과가 달랐다. 공저자인 콘 웰 왕박사는 “격자 구조에 따라 잘 차단할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를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두개골 안에 그물망 형태의 전극을 삽입한 뒤, 뇌 표면을 따라 부착하는 방법으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뉴럴링크의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뒤 드론 조종기 없이 뇌파로 드론을 움직이면 어떨까. 이를 위해 환경생태공학부, 컴퓨터학과, 바이오의공학과, 심리학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생명과학부 등 다양한 전공의 회원들이 팀에 모였다. 뇌파 측정기와 드론을 연결하고, 이 과정을 프로그래밍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한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화 게임이론’을 정립했습니다. 1973년 두 학자는 게임이론과 수학식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진화 게임이론은 고전적인 게임이론과 무엇이 다를까요? 고전적 게임이론은 게임에 참여한 각 경기자가 합리적으로 생각한다고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안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문제지요. 외판원 문제가 NP-완전이라는 사실은 1972년 미국 컴퓨터과학자 리처드 카프가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많은 학자들이 P≠NP라고 생각합니다. 즉 외판원 문제를 푸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은 없다는 거지요. 따라서 학자들은 근삿값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새로운 유형은 잘하기 어려워요.” 게임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스도쿠는 컴퓨터가 알고리즘에 따라 만든 문제다. 이미 알려진 전략에 따라 문제를 출제하기 때문에 새로운 규칙이나 전략이 녹아 들어있지 않다. 그런데 사람이 문제를 만들면 이전과 다른 규칙이나 유형을 쓴 문제를 만들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복잡해질 것이다. 셔틀타요는 이 과정을 자동화했다.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를 푸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는 n개 도시와 각 도시 사이 거리가 정해졌을 때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통과해 출발지로 돌아오는 가장 좋은 경로를 찾는 수학 문제다. 도시를 탑승 장소로 바꾸면 셔틀버스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인공 장기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하지만 성능 좋은 컴퓨터도 전기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아야 작동할 수 있듯, 잘 만들어진 인공 장기 역시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혈관을 만드는 일 또한 인공 장기를 만드는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측정 장치에 얼굴을 올려놓고 눈꼬리 부위에 빛을 투사해 그 부위를 촬영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서 주름의 면적과 깊이 등을 μm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한다. 주름 개선 화장품, 이렇게 작용한다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거나 콜라겐을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진 실화냐?투르크메니스탄에 있는 이 지형은 컴퓨터그래픽이 아니다. 땅 속 석유가스가 만든 실제 상황이다. 놀라운 건, 이런 기이한 지형이 한둘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아스팔트 화산은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바닷속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특이한 지형이다. 문명이 도달하기 어려운 3000~4000m의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