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새로운 유형은 잘하기 어려워요.” 게임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스도쿠는 컴퓨터가 알고리즘에 따라 만든 문제다. 이미 알려진 전략에 따라 문제를 출제하기 때문에 새로운 규칙이나 전략이 녹아 들어있지 않다. 그런데 사람이 문제를 만들면 이전과 다른 규칙이나 유형을 쓴 문제를 만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수갑을 풀었다.“어떻게 되는 거예요? 감옥으로 가는 건가요?”“그 전에 잠깐 그, 뭐냐, 컴퓨터 방으로 가야겠다. 저쪽 팔 허리 뒤로 돌려.”남자는 하림의 두 손에 수갑을 채워서 앞장세웠다.본체가 있는 곳에는 사람이 많이 모여 있었다. 연구원들도 분주하게 뭔가 작업을 하고 있었다.부산스럽던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뒤 드론 조종기 없이 뇌파로 드론을 움직이면 어떨까. 이를 위해 환경생태공학부, 컴퓨터학과, 바이오의공학과, 심리학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생명과학부 등 다양한 전공의 회원들이 팀에 모였다. 뇌파 측정기와 드론을 연결하고, 이 과정을 프로그래밍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안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문제지요. 외판원 문제가 NP-완전이라는 사실은 1972년 미국 컴퓨터과학자 리처드 카프가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많은 학자들이 P≠NP라고 생각합니다. 즉 외판원 문제를 푸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은 없다는 거지요. 따라서 학자들은 근삿값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계산기학회 컴퓨터 그래픽스 분과회의 명칭) 연례 회의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연구팀이 이런 원리를 곡선에도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망원경처럼 겹치면 작아지고, 뽑으면 커지는 곡선 형태를 만들기 위해 전체 모양을 이루는 조각 중 필요한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65쪽 그림에서 사람이 입은 내복 같은 옷은 사실 로봇이에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강철로 돼 있어야만 로봇 같지만, 앞으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도 많이 등장할 거예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안경처럼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만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게임은 1951년경 미국의 수학자이자 공학자인 클로드 섀넌이 만들었어요. 섀넌은 여러 컴퓨터를 이어주는 통신선 중 하나가 끊겼을 때 주변에 있는 통신선을 이용해 우회하는 방법을 찾다가 스위칭 게임을 떠올렸어요. 스위칭 게임은 보통 사각형 격자 그래프 위에서 진행합니다. 먼저 그래프 위에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인공 장기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하지만 성능 좋은 컴퓨터도 전기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아야 작동할 수 있듯, 잘 만들어진 인공 장기 역시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혈관을 만드는 일 또한 인공 장기를 만드는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한국에 도움이 돼야겠다는 마음의 빚이 항상 있었다”는 손 총장은 버지니아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2년 DGIST로 옮겨 연구자로서 제2막을 열었다. 그는 “DGIST를 융복합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산실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9월 8일, 취임 6개월에 접어든 손 총장을 만났다. Q. ... ...
- [수학뉴스] 상금 10억 원 걸린 체스 문제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미 자리를 잡고있을 때, 나머지를 올려놓는 겁니다. 문제는 반복되는 규칙이 없어 슈퍼컴퓨터로 일일이 퀸의 위치를 대입해도 답을 찾는 데 수천 년이 걸린다는 거지요. 교수팀은 다항 시간에 답을 찾을 수 없다는 걸 증명해 이 문제가 NP-완전 이라는 걸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푸는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