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뉴스
"
결정
"(으)로 총 7,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뿌리 유전자 진화시키며 가뭄에 더 강해진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최근 다양한 염기서열
결정
기술이 고안되면서 한 번에 수천~수백만 개의 DNA 염기서열을
결정
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번바움 교수는 “10년 전만 해도 초기 단세포 기술로 수십 개 정도의 세포만 분석할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이제는 일상적인 실험에서도 수만 개의 세포에 담긴 ... ...
세상에서 가장 얇은 유리
결정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0
사이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이 규칙적이면 석영
결정
이 형성되며 결합이 매우 불규칙한 비정질일 때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유리가 된다. 사면체 결합 방식을 제어하고 물성 변화를 이해하면 신물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관표 교수 연구팀은 ... ...
코로나 확진 2만3521명...102일만에 최다, 23명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3.05.10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코로나 검사센터 앞으로 관광객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방역 조치 해제 등 위기단계 하향이 이뤄 ... 회의를 거쳐 코로나19 위기단계와 감염병 등급 하향, 이에 따른 격리 의무 해제 등을
결정
할 예정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아니다. 독극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사선 피폭에 의한 부작용은 피폭량에 의해서
결정
된다. 아무리 효과비가 낮더라도 피폭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한다. 반대로 효과비가 아무리 높아도 피폭량이 충분히 적으면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용량(用量)이 독(毒)을 ... ...
반도체칩 발열 100분의 1로 줄여...펨토초 수준 신호 생성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09
칩 내의 서로 다른 지점 간의 클럭 도달 시간 차이에 해당하는 ‘스큐’에 의해
결정
된다. 클럭 드라이버들의 개수가 늘어나며 지터와 스큐 모두 피코초 이상 커지게 된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했다. 레이저를 활용해 지터가 펨토초 이하로 발생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레이저에서 발생하는 광 ...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종식…전문가들 “데이터 추적 어려워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대응역량을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제 비영리단체인 ‘생명을 구하는
결정
’의 톰 프라이든 회장은 “PHEIC가 사라지면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더 세분화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다”고 말했다. WHO의 이번 조치에 따라 한국 방역당국도 국내 코로나19 위기단계 ... ...
[표지로 읽는 과학] 50억년 후 지구가 태양에 잡아먹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6
이 현상이 별들의 충돌이 아닌 별이 다른 행성을 잡아먹는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데
결정
적인 역할을 했다. 별이 방출하는 총 에너지 양을 추정한 결과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먼 미래 태양이 지구를 집어삼킬 때 태양 또한 강렬한 빛을 발했다가 원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경찰이 잡아간다"...아이에게 거짓말 하면 일어나는 일
2023.05.05
이렇게 서로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당한 이유가 있다면 아이가 원하는 대로
결정
하고 그렇지 않다면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는 일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고 한다. 양육에 지름길이란 없는 모양이다. Santos RM, Zanette S, Kwok SM, Heyman GD and Lee K (2017) Exposure to Parenting by ... ...
샴페인 거품이 솟구치는 이유 찾았다..."환경오염 해결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5.04
수 있다고도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제니트 교수는 “거품의 특성과 형태를
결정
하는 원인을 찾는 연구는 산업계와 환경연구계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며 “후속 연구에선 거품 흐름에 유체역학적 특성에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고집적 반도체 혁신 기술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신현석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같은 질화붕소 소재인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이용해 박막의 층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단
결정
hBN 합성법을 개발해 반도체 소재를 대면적화할 수 있는 해법도 제시했다. 이 연구도 2022년 6월 네이처에 게재됐다. 신현석 교수는 “초저유전물질 원천소재 개발은 반도체 칩 전력소모를 줄이고, 정보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