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집
수집
spawning
수확
추수
포획
뉴스
"
채취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방 식품 5일만 먹어도 ‘살찌는 체질’ 변화
2015.04.20
BMI)가 정상 범주에 드는 사람들 위주로 선발했다. 연구팀은 5일 후 근육 샘플을
채취
해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체내 독소의 농도가 2.5배 증가한 사실을 알아냈다. 반대로 지방이 30% 정도로 일반적인 식사를 한 학생들은 체내 독소 농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두 그룹이 섭취한 총 칼로리는 ... ...
6000원으로 만나는 일본의 과학
2015.04.19
2010년 지구로 돌아온 하야부사 탐사선의 모형을 만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야부사가
채취
해온 표본을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코너도 준비돼 있다. 관람객 1명이 1분 동안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데, 박물관에 간 시간이 평일 오전이다 보니 혼자서 수 분간 소행성의 암석표본을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
2015.04.17
- 고베=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다카하시 그룹리더는 환자에게서 피부세포를
채취
한 뒤 이를 iPS세포로 변환시켰다. 그리고 이 iPS세포를 혈관으로 파괴된 황반에 이식하기 위해 색소상피세포로 분화시켰다. 이식수술은 다카하시 그룹리더의 교토대 의대 동기이자 25년 지기인 구리모토 야쓰오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손 쓸 수 없는 단계”라며 “나무는 크고 선충은 워낙 작기 때문에, 나무의 어느 부위를
채취
해 검사하느냐에 따라 감염목인데도 재선충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나무의 감염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는 게 어렵다는 얘기다. “감염된 나무가 일찌감치 물리적, 화학적 반응을 보일지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어떻게 개발되나
2015.03.20
심근경색 치료제 ‘셀그램-AMI’의 경우 환자의 골수에서 중배엽줄기세포를 소량
채취
한 뒤 배양 과정을 통해 양을 100만 배로 늘려 환자에게 투여한다. - 파미셀 제공 줄기세포 치료제 하나가 탄생하기까지는 지난한 개발 과정을 거친다. 특정 질환에 적합한 세포로 분화하는 줄기세포를 발굴한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화장품과 신약을 개발할 때 직접 동물실험을 하거나 사체에서
채취
한 조직을 사용해 실험해왔다. 최근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인체조직과 똑같이 작동하는 바이오칩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칩 기술은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로 기계보다 더 복잡한 인체조직을 ... ...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함께 보호하고 보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앞으로 현지에서 직접 샘플을
채취
해 한국으로 보내는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로슬린연구소 제공 방법은 이렇습니다. 태어난 지 6년 된 암양의 몸에서 체세포를
채취
해 ‘세포핵’ 부분만 따로 분리해 놓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양의 난자를 꺼내 세포핵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방금 분리해 놓은 핵을 집어넣는 건데요. 일명 ‘핵치환’ 기법입니다. 비어있는 난자에 ... ...
뱃속 아기 성별 구별할 수 있다?
2015.02.25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여우원숭이 암컷 12마리의 성기 근처에서 묻어나는 체취를
채취
해 임신 전후를 비교했다. 체취는 페로몬과 함께 다양한 화학성분이 뒤섞이면서 나타난다. 먼저 연구팀은 임신한 여우원숭이 암컷들의 체취의 복잡함 정도가 임신 전에 비해 단순해진다는 사실을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연구팀이 낙농업이 정착되기 이전 신석기 시대 인골에서 고 DNA(조각조각난 옛날 DNA)를
채취
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락타아제 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유럽에서 이 돌연변이가 본격적으로 증가한 시점은 낙농업이 시작된 이후가 됩니다. 이는 약 1만 년 전 이후로, 비교적 최근의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