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집
수집
spawning
수확
추수
포획
뉴스
"
채취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채취
한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유전적 질환을 가진 아이 1명과 태아들에게서
채취
한 피부세포를 주입해 모두 6개의 복제배아를 만들어냈다. 그는 이 연구 결과를 2013년 과학전문지 ‘셀(Cell)’에 발표하면서 일약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라섰다. 과학 잡지 네이처가 ‘2013년을 빛낸 ... ...
전세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26만9000t!
과학동아
l
2015.01.20
마르쿠스 에릭센 박사팀은 2007~2013년 24번에 걸쳐 세계 주요 5대 환류 지역을 탐사했다.
채취
한 표본 수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대입한 결과, 26만9000t에 이르는 미세 플라스틱이 현재 전세계 바다에 떠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6월 스페인 연구팀이 추정한 양(약 4만t)보다 6~7배 많다. 에릭센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우주가 존재한다. 게임 속 유닛들은 자신이 실재한다고 믿을지도 모른다. 미네랄을
채취
하면 유닛을 만들 수 있고, 총알을 맞으면 유닛이 사라지니 말이다. 하지만 게임 속 우주는 컴퓨터 명령어의 집합체일 뿐이다. 명령어가 하는 일이란 매 순간 유닛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 순간 ... ...
한국 극지 대원들이 남극 화산 활동 발견했다
2015.01.16
확인했다. 12월 14일에는 북쪽 사면에 접근해 화산가스가 그대로 얼어붙은 얼음시료를
채취
하는데에도 성공했다. 현재 연구진은 이 시료는 냉동된 상태로 한국으로 이송 중이다. 극지연구소측은 2월 초에 시료가 도착하면 분석작업을 거쳐 7월 인도에서 열리는 남극지구과학학회에서 발표할 ... ...
초콜릿 먹으며 스트레스 풀어… 糖중독이네요
동아일보
l
2014.12.29
기자에게 한 번에 섭취할 수 있는 초콜릿의 최대량을 먹게 한 뒤 30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
해 혈당과 혈액 속에 당을 줄이는 호르몬인 인슐린양을 체크했다. 기자가 한 끼를 굶는 대신에 먹을 수 있는 초콜릿의 양은 1184Cal. 모두 시중에 파는 K초콜릿, D샌드, M초코과자 등이다. 보통 여성의 1일 필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해석했다. 그런데 1976년 심해의 바닥에서 팔레오딕티온이 발견됐고 2003년 시료를
채취
하는 탐사가 이뤄졌지만 아쉽게도 이 구조물을 만든 동물의 실체는 파악하지 못했다. 1984년 자일라허는 에디아카라 화석군에 대한 대담한 가설을 발표해 고생물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에디아카라는 ... ...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없는 셈이다. 물증을 확보할 가장 좋은 방법은 얼음을 뚫고 빙저호의 물을 직접
채취
해 해수 샘플과 화학성분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 빙저호 위 빙하의 고도변화와 빙진의 발생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증거가 될 수 있다. 연구진은 올해 9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아이스샛(ICESat)’과 ... ...
A형 독감예방 주사 한 대 맞았을 뿐인데…
2014.12.09
H3H2형 인플루엔자(A형 인플루엔자) 예방주사를 맞은 실험참가자들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
했다. 참가자들의 혈액 속 항체는 예상대로 H3H2형 인플루엔자에 강한 면역반응을 일으켰다. 그런데 참가자들의 혈액 속 항체는 H3H2 외에도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05
종류인지, 어떤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면서 “환자의 피나 소변을
채취
한 뒤 ‘보디가드 단백질’을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로 사용해 30분 만에 아시네토박터균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일본, 하야부사 2 발사 성공] 소행성 1999JU3 향해 52억 ㎞ 여정 시작
2014.12.03
2㎞로 소행성에 쏘아 소행성 표면에 인공 ‘크레이터(운석 구멍)’를 만든다. 암석을
채취
하는 이유는 소행성 표면이 태양광이나 우주선(cosmic ray)에 변질됐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미네르바’라는 소형 로봇을 내려 보내 소행성 표면 탐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만약 소행성에서 가져온 샘플에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